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느낌
상태
생각
기분
환경
상황
마음
스페셜
"
분위기
"(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전파플레이그라운드' 2곳 추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24
www.rap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과 탐구
분위기
확산을 위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인공지능 탐구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150명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참가생들에게 과학관이 인공지능 관련 3개 탐구과제를 제시 ... ...
[현장!CES2022]미·중 갈등에 디커플링 현상 드러난 CES…"아직 기업은 협력 여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2
예전만큼 늘어날 것 같지 않다는데 더 무게를 뒀다. 미국 쪽의 움직임을 봐도 이런
분위기
가 어느 정도 사실화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CTA는 지난 2019년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했던 CES 아시아를 폐지했다. 존 켈리 CTA 수석이사는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팬데믹(전세계적 대유행병)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2022.01.06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고 실험의 주인공이다. 위키미디어 제공 이는 괴팅겐대의
분위기
와 전혀 달랐다. 보른이나 하이젠베르크는 고전역학을 완전히 포기하고 전혀 새로운 역학체계를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결과가 행렬역학이었다. 수학적으로는 행렬역학과 파동역학이 동등하다고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미국과 유럽에서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AI와 같은 데이터과학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
다. 스웨덴 국내총생산(GDP)의 30%를 담당하면서 이익의 80%를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발렌베리 재단은 연구비 중 10%를 데이터 기반 생명과학에만 투자한다고 결정했다. 이 교수는 “노벨상을 주는 스웨덴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바이오에너지 상용화가 미뤄진 이유다. 최근 유가가 급등하고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면서
분위기
가 바뀌고 있다. ○ 종의 합성으로 적응력 높아져 북미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스위치그래스(큰개기장)가 바이오에너지 작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2월 고품질 게놈이 해독되며 사배체가 다양한 ... ...
[일문일답]소아·청소년 정말 꼭 백신 접종을 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관련 안내문을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학교 단위의 접종으로 백신 접종 강요
분위기
생길까 우려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번 학교 단위의 접종은 예전에 했던 일괄적인 단체접종과 성격이 다르다. 대부분이 개인별로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학교 단위 접종은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 한국 우주산업 발목 잡는 4대 고질병 잡는다
2021.12.06
김민수 기자. "생각하지 못한 속도로 빠르게 우주산업 육성과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분위기
가 무르익고 있다. 우주개발이 과학의 영역에서 산업의 영역으로 바뀌는 전환기에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구체적인 시장을 일궈야 한다." 6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확장하는 우주경제,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달에서 자원자급·배달서비스도 나온다…국내기업들도 "우주탐사 준비 중"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민간을 중심으로 한 협력 체제로 바뀌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의 기업도 이러한
분위기
를 포착하고 연구개발에 참여하면 새로운 사업에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우주탐사는 과거와 달리 독점적 진행보다 협력으로 이뤄지고 민간과 협력 또한 ... ...
[혼란의 시대, 위기의 언어](중)코로나 신조어 한국은 보건 정책, 중국은 애국 강조
2021.11.26
설명했다. 또 신조어의 발생에는 ‘단결’과 ‘애국’을 강조하고 있는 중국 사회의
분위기
가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2020년도 올해의 한자와 단어로는 각각 ‘民(인민)’과 ‘脱贫攻坚(빈곤 탈출의 난관 돌파)’가 선정됐는데, 이는 방역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중국 인민의 ... ...
올해 과학수사대상에 미세증거물 개념 도입한 홍성욱 교수
연합뉴스
l
2021.11.18
유전자는 순경부터 청장까지 훤히 꿰뚫고 있지만 미세증거물은 아는 사람만 공유하는
분위기
다.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학계에서도 인공지문 개발 등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홍 교수는 "국제저널에 지문이나 미세증거물, 족적 등으로 10여 편의 논문을 냈는데 20편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