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시
멸시
냉대
경멸
업신여김
모멸
도외시
스페셜
"
무시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
2023.03.07
정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가의 역할도
무시
할 수 없다. 전문가의 의견은 냉정하고, 구체적이고, 정확한 학술논문을 통해서 밝히는 것이 원칙이다. 물론 전문가의 직접적인 대국민 설득 노력도 중요하다. 특히 엉터리 괴담과 가짜 뉴스의 정체를 낱낱이 ... ...
[오늘과학] 생쥐는 성욕과 식욕 중 어떤 욕구 앞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생물학적 이치에 맞는 선택”이라며 “짝짓기를 하려면 배고픔은
무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런 행동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 생쥐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이 이성과 상호작용할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렙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더 원시적인 생김새를 지닌 파란트로푸스는 어찌 보면 유인원으로 회귀한 별종이라
무시
해도 인류의 진화를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 논문에 따르면 가장 오래된 올도완 석기의 주인공일 가능성이 크니 고개를 갸웃할 수밖에 없다. 인류 진화 계통도를 다시 보다가 깜짝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장기간에 걸친 반복적 노출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독성이다. 과학적으로 확인된 발암성을
무시
할 이유는 없지만, 적은 양의 발암물질을 한 번 섭취했다고 당장 암에 걸릴 듯이 호들갑을 떨 이유도 없다는 것이 명백한 과학적 진실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지나면서 흔히 나타난다면 장차 더 심하게 되는 걸 막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인가,
무시
해도 될 일인가. 의학적으로 쉽게 해결가능한 증상이라면 무엇이든 개인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바로잡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인체에 사소하지만 의학적으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 또는 고치고 싶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지배했기 때문이다. 콜레라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무시무시
한 콜레라의 원인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라는 게 말이 돼? 1876년 탄저균, 1882년 결핵균, 1883년 콜레라균을 발견한 독일의 코흐(Robert Koch)는 당시까지 인류에게 가장 위협이 되는 병이었던 감염병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교육부가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지게 될 가능성도
무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기대하듯이 ‘교육 서비스’를 통해서 ‘복지’와 ‘성장’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게 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지난 정부가 성급하게 출범시켜놓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휘발유와 경유 가격 역전의 진실
2022.12.21
경유를 사용하는 고급 승용차와 SUV도 적지 않다. 자칫 정유사가 국제 시장의 가격 동향을
무시
하면 감당하기 어려운 혼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유무역이 일반화되어 있는 국제 사회의 현실 때문이다. 상황은 녹록치 않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침체되었던 국제 경기가 되살아나고 있던 중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문제는 애써 외면해버린다. 이산화탄소가 녹색 식물을 살아 숨 쉬도록 해준다는 사실도
무시
한다. ○ 탄소는 생명의 원소 탄소는 생명의 원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의 맹목적인 저주와 달리 탄소는 생명의 원소다. 탄소가 없으면 생명 현상 자체가 불가능하다. 생명체의 조직과 기관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기원 예산 이관 논란...혼란에 휩싸인 대학교육
2022.11.23
더 배정할 수도 있다는 기재부의 미끼는 설득력이 없었다. 부처간 장벽이 견고한 현실을
무시
한 기재부의 제안에 과기계가 발끈했다. 예산 배정권을 잃어버린 과기정통부의 과기원 관리·감독 권한은 빛 좋은 개살구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결국에는 예산권을 틀어쥐게 된 교육부가 과기원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