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스페셜
"
고리
"(으)로 총 34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서로의 내면을 열었을 때
2021.11.13
더 그렇다. 예컨대 나의 경우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만화 캐릭터 인형을 휴대전화
고리
에 달고 다닌 적이 있었다. 당연히 한동안 아무도 그 캐릭터를 알아보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쇼핑을 하고 있었는데 모르는 사람이 다가와서 “저도 그 캐릭터 좋아해요”라고 하는 일이 일어났다. 난데없이 ... ...
경주에 선박용 SMR 개발 위한 70MW급 원자로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높다는 설명이다. 아라 연구로는 선박 평균 수명에 맞춰 30년간 운영된다. 신
고리
5호기와 6호기 같은 최신 상용원전은 설계수명이 60년이다. 아라 연구로 용기도 상용원전 압력용기와 같은 재료와 제작기법으로 제작되는 만큼 60년간 사용이 가능하지만 설계수명은 이보다 줄인다는 계획이다. ... ...
비만 늘고 일상회복 중 확진자 늘어난다는데…코로나19 기저질환 없어도 비만에 치명적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586명) 대폭 늘어났다. 연구자들은 비만과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중증화 사이의 연결
고리
를 설명하는 한편,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있음을 지적했다. 사람간 물리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운동량이 줄어든 탓이다. 코로나19 감염시 중증화 자체도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한다. 연구팀은 물이 마를 때 액체 속에 든 미세입자가 바깥쪽으로 몰리며 표면에
고리
모양을 남기는 현상인 ‘커피링(
고리
) 효과’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발수성 표면을 적용해 이를 구현했고, 이로써 표면에 묻은 물방울이 증발하고 난 뒤 남은 미세입자가 안쪽에 파인 홈 내부에만 모여 갇히도록 ... ...
한국 과학자가 컴컴한 우주에서 포착한 '악마의 눈' 올해의 핼러윈 천체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주변부와 반응하면서 신비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외각 껍질층의 반복되는
고리
구조와 이를 뚫고 나오는 방사형 빛줄기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CW 레오니스 중심의 밝기는 2016년 매우 짧은 기간 급격히 늘어난 것을 처음 발견했다. 이는 별 중심에서 뻗어나가는 빛줄기가 2016년 지구에서 ... ...
재미 한국과학자 코로나19 검사 결과 5분 만에 얻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소수성 말단은 탄소나노튜브에 결합하고, 친수성 말단은 탄소나노튜브에서 먼 방향으로
고리
모양을 형성한다. 이 친수성 말단들이 모여 이룬 구조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뉴클레오캡시드와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식한다. 탄소나노튜브가 바이러스 단백질을 인식하면 근적외선을 조사했을 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든 생명은 결국 하나라는 믿음
2021.10.23
것이 아닌가 같은 두루뭉술한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어떤 삶도 완전히 소멸하기보다 삶의
고리
속에서 영원히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다. 어떻게 보면 엉뚱하고 말도 안 되는 생각일 수 있겠다. 불교에 대해 아무 것도 알지 못하지만 한편으로는 어쩌면 윤회라고 하는 것도 이런 ... ...
[표지로 읽는 과학]단백질 접힘과 질환의 연결
고리
동아사이언스
l
2021.10.16
29일 공개했다. 타우 단백질의 접힘 형태를 분석한 기존 연구들을 기반으로 질환과의 연결
고리
를 정리했다. 가령 타우 단백질이 3개의 층으로 접혔을 때 '진행핵상마비'라는 신경질환이 나타난다. 진행핵상마비는 40~50대에 주로 발생하는 신경질환으로 안구 운동 장애나 보행 장애, 자세 이상 등의 ... ...
치매 환자가 코로나19에 취약한 이유, 유전자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중증화 위험이 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치매와 코로나19 중증 사이의 유전적 연결
고리
를 찾은 셈이다. 더비스 살리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퀸스퀘어신경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과 노팅엄대, 카디프대 등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알츠하이머성 치매 위험 유전자로 알려진 OAS1이 코로나19 ... ...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온도와 압력 느끼는 인간의 체감 비밀 밝힌 과학자들 수상(종합)
2021.10.04
환경 사이 복잡한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지금까지 누락돼 있던 중요한 연결
고리
로 꼽힌다.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 교수. 캘리포니아대 제공 줄리어스 교수는 온도 수용체를, 파타푸티언 교수는 기계적 감각과 위치 감각 수용체를 각각 규명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