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하구
강어귀
스페셜
"
강구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
2015.12.22
KINAC은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NSSC와 함께 SETT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여러 방안을 적극
강구
하고 있다. SETT가 우리나라 물리적 방호 강화를 위한 첨단 시험장으로 그 역할을 다 하는 한편 세계 수준의 교육·시험장으로 우뚝 서기를 기대한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핵비확산뉴스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
2015.12.17
으로 구성된다. 집행이사회는 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해양문제를 확인하고 해결방법을
강구
하며 연구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등 모든 의제를 논하고 결정하는 최고 의결기구다. 재정행정위원회는 PICES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모든 재정‧행정사항을 검토하고 원활하게 집행한다. PICES 연구과학활동의 ... ...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
IBS
l
2015.11.16
하는데,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중성미자를 잠수함과의 통신에 활용하는 방법을
강구
했던 것이다. 매초 700억 개가 엄지손톱만한 면적으로 지나가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 중 하나인 중성미자는 우주에서 빛 입자인 광자 다음으로 많다. 태양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 때 나오는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사진1. 시화호 주변 지역의 전경. 오랜 시간 많은 사람들이 노력한 끝에 시화호는 원래의 모습을 되찾아가고 있다. © 시화호관리위원회 악명은 잊혀졌다. 오 ... 시료를 분석중인 김경태 박사. 시화호 복원은 현재진행형이다. 그는 아직 많은 방안을
강구
해야 한다며 긴장을 늦추지 않는다 ... ...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미국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
2015.10.01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난제들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강구
할 때 우리에게 열린 마음을 갖도록 해준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Green Tech. HORIZON> 6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무분별하게 자원 낭비한 나우루의 비극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9
급감했다. 수입이 줄어든 국가는 다급해졌다. 해외 자산을 매각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
했지만 한 번 줄어든 자원은 다시 늘어날 줄 모르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였다. 국민들은 더 절박한 상황에 몰렸다. 20년이 넘도록 국가가 무상으로 제공한 혜택에 의존하느라 노동을 아예 하지 않았던 ... ...
비행기에서 다리가 붓고 저린다? 이코노미클래스 증후군!
KISTI
l
2015.04.07
확대 운동을 펼치고 있다. 영국 상원 과학기술특별위원회 역시 정부와 항공 회사에 대책
강구
를 촉구한 바 있다. 2003년에는 심부정맥 혈전으로 사망한 항공기 탑승객의 가족이 항공사가 혈전증에 대한 위험을 알리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보상금을 위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사실 심부정맥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⑤] 국가 에너지 안보와 풍력에너지의 중요성
동아사이언스
l
2014.08.18
설치하는 경우에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
해야 한다. 풍력발전기가 생산한 에너지는 풍속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각 나라마다 동일한 조건이 아니며, 같은 나라에서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만약 유럽의 풍속에 맞는 풍력발전기를 우리나라에 ... ...
탈북 과학기술인 “북한선 중산층 이상으로 살았는데…”
과학동아
l
2014.07.22
자생력을 키우려면 현지 과학기술인의 역할이 큰 만큼, 탈북자들을 활용해 미리 방안을
강구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상진 KISTEP 연구위원은 “탈북 과학기술인은 북한의 최신 연구동향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들로 군사기술 연구자도 포함돼 있다”면서 “그들의 실력을 검증 할 수 있는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제동을 건 첫 사례는 아니다. 최근 들어 동물실험의 문제를 지적하며 개선책을
강구
해야 한다는 글들이 종종 눈에 띤다. 학술지 ‘네이처’ 3월 27일자에는 미국 ALS치료제개발연구소 스티브 페린 박사의 기고문이 실렸다. ALS는 근위축성측색경화증의 영문 머리글자로 흔히 루게릭병이라고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