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스페셜
"
각도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구조, 높은 성능 지닌 물고기 눈 모방해 물고기는 한 곳을 응시했을 때 볼 수 있는
각도
범위를 의미하는 시야각이 160도 이상으로 매우 넓은 범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모방에 넓은 시야를 한번에 찍는 초광각 카메라가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모바일 기기나 드론 등에 ... ...
[인간·공감·AI]조난자 소리, 원하는 가수 목소리 콕 찍어 키워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선명히 골라 듣는 게 가능하다. 김 교수는 “소리의 방향을 수정해서 그 방향에 해당하는
각도
와 주파수만 찾는 필터를 이용해 원하는 사람의 소리만 골라내는 게 원리”라며 “나아가 원하는 가수의 목소리만 따로 추출해 다른 음원에 추가로 입히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퀸의 ... ...
지구에 붙잡힌 '작은 달' 알고보니 54년전 임무 실패한 로켓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평면상의 궤도를 돈다는 점도 이유 중 하나다. 소행성은 궤도면을 기준으로 지구와 다른
각도
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보통의 소행성보다 느린 시속 2400km로 지구에 접근하는 점도 일반 소행성이 아니라는 추측에 힘을 실어준다고 봤다. 초다스 매니저는 “달 탐사에서 분리된 로켓이 ... ...
안전성·최고 효율 모두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태양전지라고 한다. 저온에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데다 무게가 가볍고 태양광
각도
와 상관없이 전기를 만들 수 있어 건물 외벽이나 차량 선루프 등에 설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광을 받으면 전기를 전달하는 입자인 전자와 정공을 만들어 이를 전극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그러나 1856b는 1856보다 훨씬 커 별빛이 최대 56%나 줄었다. 공전궤도면과 관측선의
각도
가 좀 더 작았다면 100% 가렸을 것이다. 이처럼 통과법은 백색왜성의 행성을 찾는데 효과적인 방법처럼 보이지만 이제야 처음 발견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백색왜성이 워낙 작아 빛이 미미한 데다 행성이 가리는 ... ...
[프리미엄 리포트]구글 AI에게 물었다…"유리는 고체인가,액체인가"
과학동아
l
2020.09.19
배열 공간적으로 반복된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꽁꽁 언 얼음의 물 분자(H2O)는 어느
각도
에서 봐도 육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를 결정(crystal)이라고 한다. 입자들이 이런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고 있으면 자유로이 돌아다닐 수 없고, 이는 곧 물질의 형태가 잘 변하지 않는 고체의 물리적 특성으로 ... ...
서울대병원 암세포 잡는 최고 수준 중입자가속기 도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수준이다. 전체 무게도 크게 줄였다. 중입자 가속기에는 환자 주변을 360도 회전하며 어느
각도
에서나 빔을 조사하는 회전 갠트리라는 기기가 포함된다. 기존 회전 갠트리는 무게가 500t에 달하는데, 계약한 회전 갠트리는 무게가 280t으로 그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중입자 가속기는 부산 기장군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보름달, 또는 태양을 바라봤을 때 그 크기가 약 0.5도, 즉 1800초이다. 그러니까 0.3초의
각도
는 보름달을 6천등분한 크기이다. 연주시차의 정의를 이용해 간단한 기하학을 적용하면 백조자리 61번별까지의 거리가 약 100조 킬로미터, 광년으로는 약 11.4광년 정도이다. 11광년이면 아주 가까운 거리이다. ... ...
지구, 행성 충돌로 달 만들때 대기 10~50%만 잃어
연합뉴스
l
2020.07.15
알고 있었지만 충돌의 다양한 변수를 세세하게 연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충돌
각도
와 속도에 따라 놀라울 만큼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지만 대기 손실이 얼마나 될지를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방법이 대형 충돌에 따른 행성의 대기 손실을 예측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했다.
각도
를 달리한 반복 실험 결과 참가자들이 주변부의 색 변화를 알아차렸을 때 평균
각도
가 37.5도로 나타났다. 의식을 하더라도 시선 방향에서 37.5도가 벗어나는 시야에서는 색 정보를 지각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이는 전체 시야의 3분의 2가 넘는 면적이다. 우리가 시야의 중심부를 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