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론벌레
유해곤충
페스트
독충
유해 동물
악충
뉴스
"
해충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기술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활용하는 지혜
2021.06.09
인류 문명을 꽃피우도록 만들어준 가장 중요한 기술이기도 하다. 인류에게 맹수와
해충
을 물리칠 수 있었고, 추위와 어둠을 극복할 수 있었다. 불을 이용한 음식의 조리 기술 덕분에 인간의 뇌가 본격적으로 커지게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런데 세상에는 공짜가 없는 법이다. 인류의 생존과 ... ...
[르포]기후변화로 멸종위기 맞은 ‘구상나무’, 유전자 관리로 제2 전성기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이끌며 봄에 눈이 녹으며 공급되는 수분량도 줄인다. 이와 함께 높아진 온도로 증가한 병
해충
숫자도 하나의 원인으로 꼽힌다. 한라산과 지리산은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대표적 서식지다. 그런데 이런 분포지역 면적과 구상나무 숫자가 줄고 있다. 2019년 제주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2006년 73 ... ...
고양이 좋아하는 '캣닙' 모기쫓는 작용 과학적으로 밝혀져
연합뉴스
l
2021.03.05
기후변화로 모기가 확산하며 질병 매개체로서 더 심각한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오랫동안
해충
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을 알아 온 식물에서 뽑아낸 추출물은 방충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해준다"고 했다. 특히 식물 추출 방충제는 훨씬 싼 가격에 쉽게 구할 수 있어 모기 매개 질환이 ... ...
지구 온난화가 전 세계를 덮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취약성이 증가했다”며 “유럽 산림의 절반 이상이 지구 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나
해충
발생으로 손실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교수팀은 해양온난화가 열대 태평양 지역의 강우량 변동폭을 80년 안에 2배 증가시킬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일이다. '셀' 제공 물론 기존 벼를 개선해 수확량을 늘리고 급격한 기후변화나 신종 병
해충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는 연구가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짜낼 만큼 짜낸 상태라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획기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따라서 몇몇 ... ...
최장기간 장마, 가장 따뜻한 1월…2020년 1년 내내 이상기후 기록 세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1월에 산란하는 모습이 처음으로 관찰되기도 했다. 겨울철 기온이 따뜻해지면서
해충
의 알이 폐사하지 않아 여름철에는 대벌레, 매미나방 피해가 컸다. 매미나방 애벌레 습격으로 전국 산림 6183ha의 면적이 피해를 입었다. 4월은 쌀쌀하고 강풍이 많았다. 4월 22일 새벽에는 서울에 진눈깨비가 내려 19 ... ...
고양이의 ‘일타쌍피’ 생존 전략일까…기분 좋고, 모기 쫓고
2021.01.21
수 있음을 암시한다"며 “향후 캣닙에 반응하는 고양이의 유전자를 확인하고, 다른
해충
에 나타내는 반응도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설명 동영상: https://youtu.be/EB ... ...
[전문용어의 벽, 어떻게 허무나](하) '프랑켄푸드'의 파급 효과…과학자와 대중의 거리 좁히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12
코넬대 곤충학자인 존 로지 박사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라는 그람양성 세균을 이용해
해충
에 잘 견디도록 형질을 전환한 옥수수가 제왕나비에는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당시 이 연구는 USA투데이 1면에 ‘엔지니어링 옥수수가 나비를 죽인다’라는 제목으로 실렸고, 워싱턴포스트 ... ...
식물도 냄새 맡고 안다…유익균인지 병원균인지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뿜어내고, 이를 통해 이웃한 식물에게
해충
의 공격을 알린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착안해 식물이 뿌리 근처의 유익균과 병원균도 구분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 ...
"구강청결제 코로나19 전파 늦출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위해 구강 청결제나 비강 세정제에 의존하는 것은 잡초의 윗부분을 다듬고 정원
해충
이 사라지기를 기대하는 것만 큼 쓸모가 없다”고 비판했다. 메이어 교수도 이 같은 비판을 어느정도 인정했다. 그는 “구강 청결제를 사용한 후 바이러스가 얼마나 남아있는지는 아직 비밀에 쌓여있다”며 “지금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