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뉴스
"
하늘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연, 국내기업과 ITER 조달품 제작 계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9.03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설계와 제작에 높은 정밀도 및 기술력이 필요하다.
하늘
엔지니어링은 지난 2020년 ITER 진공용기 지지구조물 및 포트 실링 등 ITER 조달 품목을 성공적으로 제작한 경험이 있는 국내 산업체다. 2029년 12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ITER 포트 실링 플랜지 제작을 완료할 ... ...
저절로 입혀지는 아이언맨 슈트 가능케 하는 '나노로봇'
과학동아
l
2024.08.17
있다. 아이언맨은 슈트의 손바닥과 발바닥에 달린 '리펄서 건'이라는 추진장치를 통해
하늘
을 난다. 슈트 내의 강력한 전자기장은 플라즈마를 가속시키고 가속된 플라즈마가 리펄서 건에서 초고속으로 발사된다. 이 발사된 힘에 대해 '작용 반작용 법칙'이 작용하며 아이언맨 슈트가 떠오른다. 실제 ... ...
페르세우스 유성우, 10~12일 절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8.11
소나기처럼 쏟아져 내리는 것을 관측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선 자세나 앉은 자세로 계속
하늘
을 보는 건 힘들 수 있다. 가급적 돗자리를 펴고 누워서 관측할 수 있는 장소를 택하는 것이 좋겠다 ... ...
입자물리학의 70년 '요새' 최대 가치는 '다양성과 존중'
과학동아
l
2024.08.10
함께 포즈를 취했다. 과학동아 제공 6월 9일 스위스의 작은 국경 마을 메헝(Meyrin). 화창한
하늘
아래로 펼쳐진 보리밭 사이사이 붉은 양귀비꽃이 흔들렸다.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최첨단 지하 실험실'이 지하 100m에 묻혀있다곤 상상하기 어려운 목가적인 풍경이었다. 이곳 사람들은 '세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약물을 처리한 생쥐는 고온에 노출된 뒤에도 먹이 섭취량에 변화가 없었다. 문득
하늘
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天高馬肥)'라는 말이 떠오른다. 가을이 오면 식욕이 늘어 살이 찐다는 건 엄밀히 말하면 여름 무더위에 입맛을 잃어 빠진 살이 돌아오는 게 아닐까. 섭식 행동은 이처럼 무의식의 ... ...
파리올림픽에서 활약할 수직이착륙기, 상용화 조건은
과학동아
l
2024.07.27
차지하고 있는 땅을 생활 공간 혹은 녹지로 되찾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UAM이 나는
하늘
아래, 도심은 어떤 모습일까. 함께 상상해 보자. ※관련기사 과학동아 7월호, 드론·헬리콥터와 다르다…도시를 바꿀 ... ...
하늘
에 구멍 뚫린 듯한 극한호우, 대응책은 있을까
2024.07.19
기후변화는 극한호우를 더욱 심화시킨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금처럼 계속 증가한다면 2100년도에는 시간당 230mm의 비가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극한호우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대비를 하고 있는가. 과학동아 제공 7월 17일부터 이틀간 수도권과 중부지방에 집중호우가 퍼부으면서 ... ...
AI가 기록 판독하고 탄소배출 감시...파리올림픽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파리의 무더위를 고려해 이같은 신소재 의상을 입기로 했다. 이밖에 파리올림픽에서는
하늘
을 나는 택시인 '플라잉카'가 운행하는 등 최첨단 과학기술이 등장할 전망이다 ... ...
한국이 노리는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유럽이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 아시아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약 20억 명의 사람들은 어두운
하늘
에서 맨눈으로 아포피스를 볼 수 있다. ESA는 "천문학자들은 이같이 큰 행성이 지구에 가까이 다가오는 것은 5000년에서 1만 년에 한 번 일어나는 일이라고 보고있다"고 밝혔다. ESA는 지구와 근접하는 2개월 ... ...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이뤄진 거대한 프로젝트다. 칠레에 건설 중인 베라 루빈 천문대는 3~4일마다 보이는
하늘
전체를 이미지화해 새로운 은하와 별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A와 베라 루빈 천문대는 몇 년 내에 관측을 시작하며 브레이크스루 리슨에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방대한 정보를 AI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