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터
토지
토질
영토
땅
밑자리
기초
뉴스
"
터
"(으)로 총 979건 검색되었습니다.
열악한 환경에 美 간호사들도 의료현장 떠나
2024.04.10
카렌 라세
터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간호대 교수는 "간호사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부
터
인력이 부족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제인 뮤어 CHOPR 연구원은 "오랫동안 간호사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지 못하면서 간호사들이 조기 퇴직하고 의료 현장을 떠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 ...
스스로 전기 만들어 세포 배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서녈 머
터
리얼즈’ 온라인판에 지난달 게재됐다. 통합형 전기자극 세포배양시스템(FESA) 모식도 및 세포 분화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안구건조증 환자, 눈에 사는 '미생물' 구성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팀은 안구건조증 환자의 안구에 사는 아시네토박
터
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이 안구건조증의 원인이라 추정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 미생물의 대사산물이 어떤 경로를 통해 눈에 작용하는지 살필 계획이다 ... ...
"같은 암이라도 다른 약 써야"…암환자 약물 반응 예측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5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세포주 데이
터
로 약물 반응 모델을 학습하더라도 환자 데이
터
에서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향후 개인 맞춤 치료를 위한 정확한 약물 반응 예측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소고기 품은 핑크빛 쌀, 지구를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3.23
쌀의 탄생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지난 2월 14일 국제 학술지 ‘매
터
’에 새로운 쌀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젤라틴으로 코팅한 쌀에 소 세포를 키워 소와 쌀을 합친 하이브리드 쌀을 개발했다는 내용이었어요.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구팀은 소 근육세포를 붙인 ... ...
소고기 들어간 쌀알, 국내 연구진이 개발…새 단백질 공급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함량이 높아질 땐 소고기 및 아몬드 향이 강해졌고 지방세포 함량을 높였을 땐 크림, 버
터
, 코코넛오일 향이 더해졌다.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쌀은 일반적인 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지만 약간의 견과류와 감칠맛이 나는 독특한 향이 난다”며 “소고기 맛을 그대로 복제한 맛은 아니지만 ... ...
새로운 자성 발견 임박…컴퓨
터
메모리 혁신 가져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이같은 양가적인 특성을 ‘알
터
마그넷(교자성)’이라고 한다. 망간 텔루라이드에서 알
터
마그네틱의 가능성을 확인한 이수영 서울대 박사과정생은 “자기 분야에서 완전히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사이언스에 전했다 ... ...
폼페이 화산재에 묻힌 고문서, AI가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이번에 우승한 대학생 연구팀의 일원인 루크 패리
터
미국 네브래스카링컨대 컴퓨
터
공학과 재학생인 지난해 8월 두루마리에서 '보라색'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문자를 처음 읽어내기도 했다. 베수비오 챌린지의 주최측은 2024년까지 발굴된 두루마리의 85%를 읽는 것을 목표로 대회 주제를 새롭게 ... ...
[과기원NOW] 이지윤 KAIST 교수, 한국인 최초 미국항법학회
터
로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최초 수상이다. 이전까지 한국계나 한국인이 이 상을 받은 적은 없었다. 1945년에 제정된
터
로상은 항법의 발전에 탁월한 공헌을 한 개인을 최고의 경의로 표창한다. 이 교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자율 무인 시스템의 안정성 보장에 필수적인 ‘항법 무결성 아키텍처 설계’ 분야의 세계적인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지질학과 연구진도 같은 기간 동남아프리카 대륙의 기후가 악화돼 인류가 새로운
터
전을 찾아 떠나야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며 호모사피엔스의 이주에 기후가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추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성급하게 결론을 내려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휴 그루컷 독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