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감각
인식
분별
지반
관찰
주시
뉴스
"
지각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도 '의식' 있나…과학자들 "강력한 증거들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요소로 본다. 동물의 '의식 보유설'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동물이 높은 수준의
지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작업을 수행해도 이것이 곧 의식의 존재를 증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라우 일본 리켄뇌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지금까지 어떠한 결정적인 증거도 나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무의식적인 ... ...
뉴욕도 한국도 위험하다...예측할 수 없어 피해 큰 '판 내 지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태평양판과 인도양판이 유라시아판을 미는 힘을 받고 있다. 필리핀판도 영향을 준다.
지각
응력이 한반도에 축적되어 있다가 임계점에 다다르면 갑자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 한반도 아래에 존재하는 모든 단층들이 잠재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뉴욕보다 한반도가 지진 위험 지대라는 게 ... ...
기적처럼 '종말의 날' 빙하 캤다…200년 대기 기록 담긴 '스웨이츠' 코어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수 없는 고립된 지역에서 국내 연구팀이 시추한 첫 성과다. 극지연구소는 한영철 빙하
지각
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미국 미네소타대, 인도 국립극지해양연구센터 등 국제공동연구팀과 함께 1월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인근의 카니스테오 반도에서 두 지점의 빙하를 시추해 각각 150m 길이의 ... ...
냄새로 '거울 테스트' 통과한 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아닌 자기 몸을 조사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MSR의 평가 절차가 대상 종의
지각
능력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며 "일부 동물이 자기 인식을 못 하는 것은 생태적인 타당성이 부족하거나 자기 인식과 관련 없는 추가 능력이 필요한 테스트의 결과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물이 ... ...
"화산지대 암석 균열 속 열 흐름이 생명 기원 물질 생성 촉진"
연합뉴스
l
2024.04.04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실험 장치와 같은 열이 흐르는 암석 내 균열 네트워크는 지구
지각
에서 흔히 발견되며, 생명체 출현 전 지구에도 풍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 결과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암석 내 지열 흐름으로 초기 지구에서 원시 생명 물질의 분리, 정제, 농축 현상이 ... ...
'25년 만의 최대 규모' 대만 지진…과학자들 "추가 지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일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섬나라인 대만의 동해안은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이라는
지각
판이 수렴하는 지점에 있다.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대만 동쪽에 지진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유 왕 대만 국립타이완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은 역단층에서 발생했는데 한 ... ...
대만 강진 이어 일본서도 지진..."두 지진 관련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하지만 지진을 일으킨 원인이 된 판이 달라 두 지진은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지각
변동은 판의 경계에서 가장 활발하다. 대만은 태평양판, 유라시아판, 필리핀판이 만나는 지역에 있다. 이번 대만 지진의 경우 필리핀판과 유라시아판이 충돌을 한 것이 주된 원인이다. 일본도 3개 판의 영향을 ... ...
"게임 금수저 있다?…시간당 인지하는 시각정보량 사람마다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앤드류 교수는 "이 연구를 동물학자로서 바라본다면 시각적
지각
능력이 포식자와 먹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우리는 주관적인 경험에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도 우리와 같은 방식으로 세상을 인식할 것이라고 ... ...
"지구 초기 생명체 대량 멸종 원인, 동시다발적
지각
활동"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일어난
지각
변동으로 대량의 화산가스가 대기에 방출되고 기후변화가 일어났다"며 "
지각
판이 부딪치며 생명체가 많이 사는 얕은 바다의 영역이 줄어든 것도 급격한 생명체 멸종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지층의 연대를 측정할 때 강력한 증거인 화석을 직접 현장에서 얻어 활용한 ... ...
뇌에 '바코드' 새겨 일시 기억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활성화됐다. 장소 세포는 특정 위치에 반응해 활성화되는 해마에 위치한 세포로 공간을
지각
하는 능력을 담당한다. 박새가 음식 저장고 근처로 갈 때 장소 세포의 반응은 특별히 커지거나 작아지지 않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음식 저장고와 관련한 박새의 일화 기억은 장소 세포보다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