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몰락
실추
전도
구르기
낙하
뉴스
"
전락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연구는 진실해야 한다. 하지만 이제 학술생태계의 논문은 경쟁을 위한 도구로
전락
해버렸고, 논문표절과 데이터조작은 너무나 당연한 일상이 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학술생태계가 논문의 도덕적 해이에서 벗어나는 방법 도덕적으로 가장 신성해야할 대학이 연구부정행위는 물론 교수의 ... ...
20세기 휩쓴 세 번의 '팬데믹'과 '인포데믹' 역사
연합뉴스
l
2021.07.06
온갖 부정확한 정보 속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팬데믹보다 더 위험한 인포데믹의 희생자로
전락
할 수 있다"고 경계한다. 이와 관련해 저자는 과학에 근거해 코로나 바이러스의 실체를 들려주고, 화이자·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얀센 등 백신의 원리와 장단점도 설명해준다. 바이오스펙테이터. 36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②변화와 위기의 시대, 대학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2021.06.28
몰락과 함께 한국의 경제와 산업도 지식을 선진국에 기대는 '기술 속국'으로 다시
전락
할 수 밖에 없음을 모두가 인식해야 한다. 송지준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필자소개 송지준 교수는 서울대 생명과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콜드스피링하버 연구소에서 박사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 ...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
2021.05.30
모든 사람은 거대 기업의 직원이 되거나 아니면 국가로부터 생활보조금을 받는 처지로
전락
한다는 것이다. 분명 그런 움직임도 있지만, 비용이 너무 비싸다. 끊임없는 인수 합병으로 거대한 조직을 만들어 버티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속 가능할지 의문이다. 앞으로는 막대한 보상 혹은 엄청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과학자는 사회적인 책임을 완수하는 지식인이 아니라, 이기적인 욕망의 노예로
전락
할 수 있다. 그건 한 국가가 감수해야 하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의 계층화 그리고 과학계의 마피아들 픽사베이 제공 박희제 교수와 김명심 박사는 2011년 “한국 과학자의 경력초기 생산성과 ... ...
변경,또 변경…기본계획 변경만 3차례 중이온가속기 ‘애물단지’
전락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기초과학연구원이 대전에 건설 중인 라온 중이온가속기 조감도.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노도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은 지난 1월 4일 신년사를 통해 중이온가속기가 당초 목표인 2021년 내 구축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진단에 따라 “중이온가속기 건설구축사업 및 사업단 운영에 대한 미래 방향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의 추락을 부추기는 정부
2021.02.10
감사로 허공으로 날아가 버렸다. 우리 과학계도 전 세계 과학계의 우스갯감으로
전락
해버렸다. 검찰이 과기부의 고발을 ‘혐의 없음’으로 판단한 후에도 과기부 차원에서 부끄러운 실수에 대한 사과와 유감 표시는 없었다. 오히려 당시 어처구니없는 일을 저지른 차관과 감사관은 여전히 ... ...
[CES2021] 전기차 시장 커진다…완성차업체 속도 내고 IT업체도 도전장
연합뉴스
l
2021.01.14
애플의 생산하청업체로
전락
한 폭스콘처럼 현대차 역시 애플의 위탁생산업체로
전락
하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협업 성사에 대한 '키'를 애플이 쥐고 있기는 하지만 현대차 내부적으로도 득실을 따지며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은 "애플카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과기정통부가 공개적인 사과를 하지도 않았다. 과기정통부의 모함으로 사기꾼으로
전락
해 재판을 받고 있는 과학자도 있다. 자율은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에서 현판식을 개최하는 모습이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제 과학기술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유전자 넷 가운데 둘을 잃어 SWS1과 LWS만 남았고 그 결과 4색형 색각에서 2색형 색각으로
전락
했다. 생쥐는 여전히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래 SWS1은 자외선에 민감하지만 몇몇 포유류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 민감한 파장대가 바뀌면서 자외선은 보지 못하게 됐다(사람도 여기에 해당). 한편 몇몇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