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몰락
실추
전도
구르기
낙하
뉴스
"
전락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의 추락을 부추기는 정부
2021.02.10
감사로 허공으로 날아가 버렸다. 우리 과학계도 전 세계 과학계의 우스갯감으로
전락
해버렸다. 검찰이 과기부의 고발을 ‘혐의 없음’으로 판단한 후에도 과기부 차원에서 부끄러운 실수에 대한 사과와 유감 표시는 없었다. 오히려 당시 어처구니없는 일을 저지른 차관과 감사관은 여전히 ... ...
[CES2021] 전기차 시장 커진다…완성차업체 속도 내고 IT업체도 도전장
연합뉴스
l
2021.01.14
애플의 생산하청업체로
전락
한 폭스콘처럼 현대차 역시 애플의 위탁생산업체로
전락
하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협업 성사에 대한 '키'를 애플이 쥐고 있기는 하지만 현대차 내부적으로도 득실을 따지며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은 "애플카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과기정통부가 공개적인 사과를 하지도 않았다. 과기정통부의 모함으로 사기꾼으로
전락
해 재판을 받고 있는 과학자도 있다. 자율은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에서 현판식을 개최하는 모습이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제 과학기술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유전자 넷 가운데 둘을 잃어 SWS1과 LWS만 남았고 그 결과 4색형 색각에서 2색형 색각으로
전락
했다. 생쥐는 여전히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래 SWS1은 자외선에 민감하지만 몇몇 포유류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 민감한 파장대가 바뀌면서 자외선은 보지 못하게 됐다(사람도 여기에 해당). 한편 몇몇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커졌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할 수 없으니 말이다. 명당은 집단 발병 지역으로
전락
했다. 동물학자 조지프 키세커와 데이비드 스켈리는 회색청개구리가 산란할 장소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연구했다. 회색청개구리는 미국산 달팽이가 사는 웅덩이에 같이 산다. 이 달팽이는 감염성 흡충의 중간 ... ...
정부 R&D 사업, 전략계획서 만들어 평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기관 의견을 수렴해 평가 방안을 수립하는 계획이다. 우선 사업 기획 강화를 위해 ‘
전락
계획서 수립 및 점검 제도’가 신설된다. 이전에는 성과목표와 지표를 토대로 평가하면서 사업이 당초 기획대로 진행됐는지와 사업목표에 부합하는 성과가 났는지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부처가 사업별 ... ...
꿈의 양자컴퓨터, 우주방사선 때문에 지하골방 신세
전락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양자컴퓨터가 자연 방사선에 영향을 받으면 성능이 제한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퍼시픽노스웨스트국가연구소 제공 현존하는 슈퍼컴퓨터보다 수십만 배 빠르게 난해한 문제를 풀어낼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컴퓨터인 양자컴퓨터가 뜻밖의 암초를 만났다. 우주에서 날아오거나 주변 물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전면 재검토해야
2020.08.19
배출한 과학강국이 전 세계 감염자의 26%와 사망자의 23%를 발생시킨 최악의 감염국으로
전락
해버렸다. 정부 주도의 대형 연구소가 능사가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성급한 논공행상은 독이다 하루빨리 코로나19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은 정부·여당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 그렇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도 원점에서 검토하자
2020.07.08
위험한 시도다. 자칫하면 어설프게 설립한 바이러스기초연구소는 과기계의 애물단지로
전락
하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전히 정체성이 불확실하고, 뚜렷한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는 파스퇴르연구소의 시설을 활용한다는 구상도 쉽게 용납하기 어려운 것이다. 자칫하면 파스퇴르연구소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과학연구는 과학적 발견을 위한 목표보다, 연구기관의 유지와 확장을 위한 도구로
전락
한다. 유리 라제브닉은 이런 잡종 시스템을 ‘유사비즈니스(pseudo-business)’라고 부른다. 과학을 참칭하는 유사과학처럼, 현재의 과학연구 시스템은 조직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