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음
noise
누화
잡소리
잡담
잡말
거슬리는 소리
뉴스
"
잡음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힉스 입자 발견 10년, 그동안의 성과와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2.07.09
힉스에 의해 만들어진 B쿼크 쌍을 찾았다. B쿼크 쌍을 찾는 데는 6년이나 걸렸는데,
잡음
에 해당하는 다른 반응이 훨씬 많고 복잡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발견을 통해 “우주를 구성하고 움직이는 기본 원리를 17개의 기본입자와 힘으로 상세히 설명하는 ‘표준모형’의 정교함이 또 한번 ... ...
스마트폰만으로 수면무호흡증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5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는 대부분 ‘적응형
잡음
제거’ 기능으로 소리 데이터의 특징적 요소를 추출하기 때문에 수면 중 호흡음 녹음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향후 이 기술이 고도화되면 표준수면다원검사에 준하는 수면무호흡증 진단 검사를 ... ...
차세대 보안 ‘양자암호’ 상용화 핵심기술 개발...세계서 두 번째로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2.05.22
시스템이다. 동일한 양자 신호가 통신 채널을 왕복하기 때문에 채널에서 발생하는
잡음
이 자동으로 보정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또 편광, 시간, 파장 분할 기술을 적용해 다대다 네트워크로 확장 가능한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하고 시험으로 검증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TF QKD ... ...
발사 준비 하루 안에 끝낸다…속도내는 민간우주발사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5.06
항법위성용 코드 및 메시지 생성기,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준광학 안테나시스템과 저
잡음
수신기 등 4개 과제에 대한 주관 연구기관은 정해지지 않았다. ... ...
중국 102.2㎞ 최장거리 양자직접통신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1
해당 메시지는 일반적인 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를 통해 보내졌으며, 이 광섬유는
잡음
으로 혼선될 수도 있고 도청도 가능하다. 양자통신은 크게 양자키분배와 양자직접통신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다. 양자키분배는 양자 암호키를 나눠 갖는 방식이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암흑물질을 찾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04.09
질량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원자핵이 윔프 외 우주 입자와 충돌해 신호에
잡음
이 생기지 않도록 지하 깊은 곳으로 내려간 것이다. 700m 두께의 지면이 다른 우주 입자를 막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정밀한 실험 결과를 위해서는 더 깊은 지하로 내려가야 한다. 이 부단장은 “올해 ... ...
시작부터 어수선한 인수위 과기교육분과…실무위원 해촉 논란에 당사자 "해촉사유 통보 못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인수위 때도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수위에 대한 새로운 논란이 제기되면서
잡음
이 이어지고 있다. 조 변호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과학기술교육분과 내 인수위원의 갑질에 대한 논란도 거론했다. 조 변호사는 “(김창경 위원은)방송통신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자신이 출연한 방송을 안 ... ...
중력파 검출 그후 6년, 우주 비밀 향해 달려가는 중력파 천문학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나오는 중력파로 별의 전체 진화 과정을 담아내지 못한다. 지구상에서는 걸러내야 할
잡음
이 많기 때문이다. 중력파 검출기를 우주로 띄우면 미세한 신호도 잡아낼 수 있다. 유럽이 추진중인 ‘리사(LISA)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이 단장은 “우주에 중력파 검출기를 띄우면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 ...
원자력연 원장 연임 놓고 노조와 '갈등'…다른 출연연 연임 영향 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기관장 연임에 반대하고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노조의 사례에서는 노조와의
잡음
이 기관장 연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절차는 없다. 다만 연임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이사회 구성 이사들의 판단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회 한 관계자는 “연임 안건이 ... ...
정재승 KAIST 교수팀, 생각만으로 정확히 로봇팔 조종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3
그러나 뇌파는 개인차가 크고 넓은 영역의 신경세포 집단 전기 신호를 해석해야 해
잡음
이 큰 점이 문제였다. 연구팀은 AI 기법인 ‘축적 컴퓨팅 기법’을 이용해 개개인 뇌파 신호 중요 특성을 인공신경망이 자동으로 학습해 찾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문제의 정답을 유추한 다음 점차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