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264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자유자재 조종하는 메타렌즈, 공장에서 바로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교수와 안지환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가시광 전 영역에서
작동
하며 기존 반도체 공정과 호환되는 고효율 메타표면 제작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메타렌즈는 일반 유리 렌즈와 달리 아주 얇은 표면에 빛을 조절하는 미세한 구조를 새겨 만든다. 이 구조 덕분에 빛의 방향이나 색깔을 ... ...
통증·온도 느끼는 세포 신호 제어하는 '전기 스위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변화를 감지하는 'OTOP1' 이온 채널을 전기 신호로
작동
시키는 데 성공했다. 전압 세기와
작동
시간을 조절해 세포 반응 범위와 타이밍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확인됐다. 박지민 교수는 “전기만으로 다양한 신호물질을 생산해 세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 ...
표적단백질 맞춤형 신약 분자 동시 설계 AI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0
AI가 무작위 상태에서 점점 더 정교한 구조를 그려가는 방식인 '확산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
한다. 확산 모델은 2024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알파폴드3'의 단백질-약물 구조 생성에서 활용돼 효율성이 입증된 바 있다. 원자가 공간상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좌표를 찍어주는 알파폴드3와 달리 결합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 속 바위에 붙어 파도에도 떨어지지 않는 고무 오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8.09
극복하는 새로운 접착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조개와 따개비 등의
작동
원리를 모방해 물 속에서도 접착력을 발휘하는 하이드로겔을 설계했다. 미국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에서 2만4707개의 천연 접착 단백질 데이터를 활용했다. 수만 개의 자연 접착 단백질 데이터를 분석한 ... ...
2배 큰 수컷 제압하며 권력 구도 흔드는 암컷 고릴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다양한 동물 사회에서 성별 권력이 얼마나 유연하게
작동
하는지 그리고 그 조건이 무엇인지 다각도로 탐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doi.org/10.1016/j.cub.2025.07.00 ... ...
오픈AI, 반개방형 추론 AI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GPU) 한 개로 구동이 가능하고 GPT-oss-20b는 메모리 16GB가 장착된 일반 노트북에서도
작동
할 수 있다. GPT-oss-20는 클라우딩 컴퓨팅이나 온라인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어 네트워크 외부로 전송할 수 없는 민감한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추가 학습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두 추론 모델은 사고를 모방하는 ... ...
음악을 들어도 감흥 느끼지 못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보상 회로 기능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보상 회로가 제대로
작동
하지 않는다면 음악 외 다른 종류의 보상에도 즐거움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며 ”음악에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청각 회로와 보상 회로 간 연결이 단절됐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음악 ... ...
감자, 튀기면 당뇨 위험 20%↑…쪄먹으면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때마다 당뇨병 위험이 5% 증가하는 경향도 확인됐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
하지 않거나 분비가 부족해 혈당이 높아지는 대사질환이다. 감자를 통곡물로 대체할 경우 당뇨병 위험이 낮아졌다. 감자 전체를 통곡물로 대체하면 위험이 8% 감소했으며 삶은·구운·으깬 감자를 대체할 ... ...
AI가 설계한 단백질, 차세대 유전자 교정 효율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세포가 DNA 복제 중 생기는 오류를 수정하는 생체 방어 시스템이지만, 프라임 교정 기술의
작동
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MMR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AI의 도움을 받았다. AI 기반 단백질 생성 기술인 '로제타폴드 디퓨전(RFdiffusion)'과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인 '알파폴드3(AlphaFold3)'를 ... ...
8월 과학기술인상에 정명화 서강대 교수…상온 '양자 스핀펌핑' 최초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흐르는 스핀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발생한 스핀 전류는 극저온에서
작동
하는 기존 방식보다 무려 10배 이상 큰 것으로 확인됐다. 상온에서도 효율이 높은 스핀 전류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보인 셈이다. 철(Fe)-로듐(Rh) 물질이 저온의 반강자성 상태에서 고온의 강자성 상태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