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뉴스
"
자손
"(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미세플라스틱, 모유 통해
자손
뇌로 전달된다"…발달 이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경로와 분포를 규명했다”며 “이번 연구로 초미세플라스틱의 노출량이 많은 경우
자손
의 뇌 발달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해물질저널’에 지난달 18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동물의 수가 ‘–10마리’? 생명과학Ⅱ 20번 문제 오류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유전자와 열성 유전자의 비율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모의 형질이 우성이어도
자손
은 열성 유전자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다소 복잡한 계산이 필요해 수능에서는 난도 높은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는 20번 문항으로 출제됐다. 문제에서는 두 개의 동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느끼지 못하는 조류가 고추를 먹으면 배설물에 포함된 고추씨가 사방으로 뿌려져
자손
을 잇는 전략이다. 새는 먹이를 씹지 않고 삼키고 장의 길이도 짧아 씨가 좀처럼 파괴되지 않는다. 생태계 현장 조사 결과 이 가설이 맞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추의 원산지인 중미와 북미 남서부에 사는 새인 ... ...
[랩큐멘터리] 바이러스 막아내는 세포의 '슈퍼파워'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목표는 하나다. 숙주세포에 잘 침투해서 가능한 많은 숙주세포를 감염시키고,
자손
을 많이 증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숙주세포는 바이러스에 당하기만 하고 있을까. 유주연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세포면역유전체학 연구실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체내에 침입했을 때 우리 몸이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주기를 갖는 매미와의 교잡과 경쟁을 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수주기로 진화한 매미들이
자손
들을 많이 남기고 살아남았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주기가 12년과 15년인 매미가 있다면, 60년 후에 두 종이 만나 교잡과 경쟁이 이뤄진다. 반면 13년과 17년 주기매미는 221년 후에야 동시에 등장할 수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극심한 혼란이 이어지자 일본에 부역한 게 드러날까 두려웠던 인부는 임종을 앞두고서야
자손
들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손자는 할아버지가 얘기한 우물터에서 두개골을 찾았고 2018년 허베이지질대에 기증했다. 아쉽게도 인부는 두개골을 발견한 정확한 지점을 얘기하지 않았다. 화석의 결정적인 ... ...
2만 년 전 한반도에는 이미 코로나 감염병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유전체는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을 때마다 이런 단백질을 생성했고, 세대를 거듭하면서
자손
에게 전달됐다. 연구진은 5만 년 전부터 고대 바이러스가 인간의 유전체에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가 인간의 유전체에 남긴 유전자는 총 420개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관련 ... ...
'유전자 드라이브' 부작용 없는 새 유전자 편집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야생종과 교배할 때 예외적으로
자손
번식에 성공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이 경우
자손
에게 원치 않는 돌연변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유전자 드라이브는 종의 개체수 조절에 개입해 생태계 질서를 교란하고 궁극적으로는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UC샌디에이고 ... ...
찰스 다윈의 '인간 유래와 성 선택' 150주년, 현대 과학이 평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꼽힌다. 다윈은 1859년 발표한 '종의 기원'에서 경쟁에서 환경에 적응한 것이 생존해
자손
을 남기며 진화한다는 자연선택설을 발표하며 창조론이 주류이던 당대 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다윈은 그 다음으로 발표한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에서 유인원과 인간의 차이를 협동심과 학습 능력, 문화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Y 염색체 없는 들쥐는 어떻게 수컷을 결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9
염색체인 셈이다. Y 염색체에서 유래한 유전자들은 X-Y 하이브리드 염색체를 통해
자손
에게 전달된다(Xm). 반면 Xp 염색체에는 Y 염색체에서 유래한 유전자들의 흔적만 남아있을 뿐 발현되지 않는다. 연구진은 그 증거로 들쥐의 암컷에서 Y 염색체에서 기원한 유전자가 최소 2개가 발현된 사실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