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리
음향
사운드
음
재생음
초음파
초음속
뉴스
"
음파
"(으)로 총 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알 속 부화중인 새도 도시소음에 악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에 발표했다. 소음이 동물의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증거는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음파
자체가 해롭다거나 소음이 부모의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등 다양한 추측이 이어졌지만 정확한 영향은 그간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호주에 사는 제브러 핀치새(학명 Taeniopygia guttata castanotis)의 ... ...
초
음파
로 몸속 배터리 무선 고속 충전…인체 삽입 의료기기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진호 교수는 "무선 전력 전송 분야의 원천적인 문제를 초
음파
전문가의 시각으로 접근해 해결했다"며 "향후 고효율 전력 반도체와 배터리 제어 반도체 등 반도체 전문가와 협업해 상용화까지 추진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
음파
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 신경퇴화’에 지난달 18일 게재됐다. ... ...
자가면역질환 있으면 갑상선암 발병 위험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원인이 된다”며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환자는 갑상선 초
음파
등 갑상선암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 검사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갑상선’ 2월호에 실렸다 ... ...
[헷갈린 과학] 가습기와 제습기를 같이 작동시키면 승자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3.30
변하는데 이 수증기를 방안에 퍼뜨리는 방식을 사용해요. 복합식 가습기는 가열식과 초
음파
식의 장점을 섞은 가습기입니다. 물을 적당히 가열해 물 입자가 더욱 잘 쪼개지게 만든 후에 진동하는 방식으로 수증기를 만듭니다. 건조한 환경에서 가습기를 사용하면 코나 목 등의 점막이 마르지 않아 ... ...
버려진 진동 모으고 증폭시켜 전기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이형진 물리측정본부 음향진동초
음파
측정그룹 선임연구원, 승홍민 비파괴측정그룹 선임연구원이 김미소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함께 미세 진동을 좁은 영역에 가두고 증폭시키는 메타물질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에너지 ... ...
물체 특징 따라 잡는 힘 조절하는 로봇 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6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압력뿐 아니라 온도, 습도, 빛, 초
음파
등 인간 감각을 뛰어넘는 초감각 손 개발까지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병원‧기계 따라 다른 'MRI‧CT 지방간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4
측정 과정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균질하고 안정한 물질이다. 연구팀은 집속초
음파
장비로 에너지를 가해 물속에 균일한 크기의 기름 입자가 생기도록 했다. 개발된 표준물질은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계면활성제 등 첨가물 없이도 지방과 물이 균질하게 존재했다. 이번 표준물질과 팬텀은 ... ...
숨 들이마시면서 말 못 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성대 사이 구멍으로 공기를 내뿜어 초
음파
영역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쥐들은 이 초
음파
를 활용해 서로 의사소통한다. 연구팀은 쥐가 후두를 움직이는 과정이 운동 신경세포(뉴런)에 의해 제어된다는 사실을 토대로 이를 역추적했다. 그 결과 쥐가 소리를 내는 동안 후뇌에 있는 후의문핵(RAm)이라는 ... ...
[과기원NOW] 포스텍, 투명 초
음파
트랜스듀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1
기존 초
음파
-광음향 시스템의 초
음파
트랜스듀서는 불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져 광파와 초
음파
간 경로 간섭이 발생해 성능이 낮았다. 연구팀은 이산화규소(SiO2)-에폭시 합성물 기반 투명 소재를 사용해 높은 광학 투명도를 가진 트랜스듀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