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명
악평
극악
흉악
잔인
불명예
뉴스
"
악명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4
암을 비롯한 여러 질병을 치료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바이러스는 과거의
악명
을 조금씩 벗고 있습니다. 유전자와 단백질 껍질 뿐인 바이러스의 가장 큰 무기는 사람 같은 숙주 세포 안으로 뚫고 들어가 증식하는 능력입니다. 몸 안에 들어간 바이러스는 면역 자극 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박사(현재는 미 몬타나대 교수)팀과 미국, 캐나다 공동 연구자들은 대기오염으로
악명
높은 도시인 멕시코시티에서 사고로 죽은 똥개 32마리의 뇌를 검사한 결과 대기오염이 덜한 도시인 틀라스칼라의 개들(대조군)에 비해 뇌에 문제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즉 멕시코시티 개들의 뇌세포에는 ... ...
아프리카의 거대 민물 물고기 ‘소셜 미디어 화제’
팝뉴스
l
2017.01.12
잡을 때와 비슷한 정도로 힘이 들고 쾌감도 느끼게 된다고 말한다. 한편 나일 퍼치는
악명
도 높다. 원래 서식지가 아닌 강이나 호수에 버려지면 기존 물고기를 잡아 먹어먹으며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물론 나일 퍼치만 비난할 것은 아니다. 이 물고기는 타의에 의해 즉 사람에 의해 옮겨지기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요람인 프린스턴대에 들어갔다. 한 해 전 프린스턴에 온 존 내쉬는 돌출 행동으로
악명
이 높았는데 다섯 살 연상인 섀플리의 환심을 사기 위해 주위를 맴돌았고 섀플리는 너그럽게 그를 대하며 함께 연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내쉬가 오늘날 ‘내쉬의 균형 정리’로 불리는 논문을 비롯해 ... ...
‘순실증’으로 사회가 엉망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2016.11.28
” 독일 빈의 정신과 의사였던 빅터 프랭클은, 1942년 게토에 강제 이주되고 1944년에는
악명
높은 아우슈비츠에 수용된다. 여동생을 제외한, 어머니와 형, 아내는 모두 수용소에서 죽었다. 그는 아우슈비츠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내용의 ... ...
2016년 마블 최고의 기대작 ‘닥터 스트레인지’ 그는 누구인가? 캐릭터 전격 분석!
2016.10.25
아이언맨(=토니 스타크)과 유사한 성격으로 받아들이면 이해가 쉽다. 영화는 거만하기로
악명
높은 닥터 스트레인지가 자동차 사고로 의사로서의 생명인 두 손을 크게 다치게 되면서 시작된다. # 모든 것을 초월하는 강력한 능력 사고로 당한 닥터 스트레인지는 두 손을 치료하기 위해 세계 각지를 ... ...
마냥 귀엽지 만은 않다, 미어캣의 두 얼굴
2016.10.25
수컷보다 더 강한 암컷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 미어캣 암컷 리더의 악행은
악명
이 높습니다. 이들은 보통 50여 마리 이상의 암수 미어캣을 자신 아래에 두고 거느리며 여왕 노릇을 하는데요. 자신보다 약한 암컷들이 구해온 먹이를 빼앗는 것은 물론 다른 암컷이 임신을 하면 멀리 ... ...
‘녹조라떼’ 걱정 없이 수돗물 쓸 수 있게 되나
2016.06.20
발생하는 녹조 현상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녹조라떼’라는
악명
으로 하천을 뒤엎은 녹조가 수돗물로 유입되는 위험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단 책임연구원팀과 KG케미컬은 현재 정수장에서 사용 중인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될지는 모른다). 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는 생태와 환경의 관점에서
악명
높은 법이었던 미국의 유해물질규제법(TSCA)이 1976년 제정된 지 40년 만에 마침내 개정의 수순을 밟았다는 사설과 뉴스가 실렸다. 즉 5월 24일 미 하원이 403대 12의 압도적인 표차로 개정을 하기로 했다는 ... ...
임신 테스트 하듯 노로바이러스 검사한다
2016.05.24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노로바이러스는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겨울철 식중독균으로
악명
이 높지만, 실제로는 겨울뿐 아니라 사계절 주의해야 한다. 영하의 추운 날씨에 생존할 수 있을뿐 아니라 염소가 든 일반 수돗물에서는 물론 60도로 30분 동안 가열해도 독성이 유지되는 질긴 바이러스다.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