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갑문
둑
제수
수로
부함
물문
취수문
뉴스
"
수문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560만 년 전 지중해가 ‘소금사막’ 됐던 이유는 ‘남극해 결빙’
2015.11.10
해수면이 상승하며 늘어난 바닷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육지였던 지브롤터 해협 지역을
수문
삼아 지중해로 흘러들어갔다. 이는 533만 년 전의 ‘잔클리안 대홍수’라 불리는 대규모 홍수를 만들어 냈다. 2009년 스페인 하우메 알메라 지구과학연구소에서는 잔클리안 대홍수 시기 지중해 해수면이 ... ...
ICT와 농촌의 만남… 스마트한 ‘創農’으로 거듭난다
동아일보
l
2015.07.24
염전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개발 내용에는 염전의 특수성에 맞춰 원격으로
수문
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시스템이나 비가 올 때 염수가 넘치지 않도록 관리하는 시스템 등이 포함됐다.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는 스마트 염전 사업이 성공할 경우 천일염 생산량은 10% 늘고 인건비는 34% 절감할 수 ... ...
올 여름엔 ‘블랙아웃’ 걱정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14
전기를 만들 수 없지만 일부 특수 발전기는 자체적으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 댐의
수문
만 열면 동작을 시작하는 수력발전기, 보조배터리를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발전을 시작할 수 있는 ‘가스터빈발전기’ 등이 주로 쓰인다. 전국을 △경인북부 △경인남부 △영동 △중부 △영남 △호남 △제주의 ... ...
헉! 한반도에도 대지진이…?
과학동아
l
2014.04.01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댐에 담긴 물을 방류할 때
수문
을 조금만 열어 천천히 흘려보내는 방법과 한꺼번에 많은 양을 쏟아내는 방법 중 어떤 쪽을 택하더라도 댐을 비울 수 있긴 마찬가지”라며 “다만 갑작스레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하면 주택 침수피해를 입을 수 있듯이, 큰 ... ...
빗물로 인한 하천 오염방지가 지난해 최고의 건설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통합
수문
모형’은 미국 농무성이 2000년 개발한 유역
수문
모형(SWAT)을 수자원연구실 김남원 박사팀이 산지와 경사가 많은 한반도 지형 특성과 물 공급 방식 등을 고려해 개선한 것이다. ‘SWAT’은 물의 탄생과 순환, 증발 등의 과정에 따라 생물이나 오염원 등이 ... ...
올 겨울 폭설피해, 작고 빠른 '이것'만 있으면 오케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0.23
세계 많은 국가들이 폭우·폭설 피해를 입는 횟수가 늘어나면서 관심을 더 받고 있다.
수문
레이더는 1분 간격으로 주변 지역을 스캔하고, 5분에 한 번씩 3D 관측자료를 만든다 - 전준범 기자 제공 “기상현상을 관찰할 땐 지상으로부터 1km에 이르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가장 ... ...
"한국의 앞선 연구역량이 물 부족 국가 도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10.18
강조했다. 현재 한국은 유네스코가 운영하는 물 관련 국제 과학 프로그램인 ‘국제
수문
학계획(IHP)’과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이사회 의장을 맡아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또 국토해양부는 산하에 IHP 한국위원회를 설치하고 국제 협력 활동도 적극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칼론지 ... ...
호우·폭설, 레이더로 집중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16
건기연은 센터 개소식에 맞춰 21~22일 양일 간 일산 본원에서 ‘2013 국제 강우레이더
수문
활용 워크숍’을 개최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의견과 지식을 공유한다 ... ...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기습적인 소나기 때문에… “대책은?”
동아닷컴
l
2013.08.07
것으로 보고 있다. 청계천의 경우 15분당 15mm의 비가 내리면 침수 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수문
이 열리게 돼 있어 빗물에 섞인 오수가 유입되기 쉬운 것으로 전해졌다. 네티즌들은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소식에 “안타깝네요”,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이 폭우 때문이었어?”, “대책이 시급한 것 ... ...
‘뒷심 장마’… 중부지방 다음주 초까지 비 계속
동아일보
l
2013.07.16
상태라 추가 산사태 위험이 있다. 또 북한은 11일 황강댐에 이어 15일 임남댐(금강산댐)
수문
을 열고 불어난 물을 방류하기 시작해 하천 범람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17일 이후에도 중부지방에는 계속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평균기간(31∼32일)을 넘겨 적어도 다음 주초까지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