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간
현간
허공
공중
하늘
공백
뉴스
"
빈곳
"(으)로 총 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
2021.04.29
등가원리의 성질을 가장 잘 드러낸 영화가 '인셉션'이다. 디스테이션/네이버영화 제공 1905년 특수상대성 이론을 완성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이후 이에 부합하는 중력이론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때까지 알려진 중력이론은 당연히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다. 아인슈타인은 만유인력의 법칙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2000년대 초 서아시아 조지아의 드마니시에서 약 180만 년 전 호모속 인류의 두개골 화석 다섯 점이 잇달아 보고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최근 이들의 두개골 내부 표면을 정밀하게 분석해 뇌 표면 형태를 추측한 결과 현생인류보다 유인원에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취히리대 제공 얼마 전 고인류학 ... ...
IAEA사무총장 "국제조사단에 한국 전문가 참여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14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언론 인터뷰에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국제조사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인터넷 서비스의 도전자들
2021.04.17
일론머스크 CEO는 2019년 저궤도 인공위성 기반의 전 세계 인터넷망 ‘스타링크’ 구축을 위한 첫 번째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공 '1강(强) 1중(中) 다약(多弱)'.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시장의 경쟁 구도는 이렇게 정의된다. 일론 머스크가 ... ...
차세대중형위성 1호와 함께 우주 향한 37개 작은 희망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러시아 JSC글라브코스모스의 소유스 2.1a 발사체에는 한국의 차세대중형위성 1호 외에도 소형위성 7기, 큐브위성 24기, 나노위성 6기가 함께 발사된다. 로스코스모스 제공 22일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싣고 발사에 성공한 러시아 JSC글라브코스모스의 소유스 2.1a 발사체에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 외에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스티븐 제이 굴드는. ‘단속평형설’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진화가 점진적이지만은 않으며 갑작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전통 다윈주의에 큰 파문을 일으키는 주장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현대 진화론을 정립한 찰스 다윈에게도 진화와 관련해 해결하지 못한 여러 문제들이 있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베네치아 산마르코 광장. 산마르코 대성당이 20세기 생물학에서 유명해진 것은 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 때문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는 물의 도시로 유명하다. 베네치아는 동화 속 상상의 도시가 현실의 눈앞에 펼쳐진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도시이다. 지금은 코로 ... ...
[인간 행동의 진화] 위험한 출산, 더 위험한 믿음
2021.02.07
수백만 년 동안 인류에게 임신과 출산은 자신, 그리고 아기의 생명을 건 위험한 일이었다. 픽사베이 제공 아기를 낳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아주 위험한 일이었다. 조선 시대 양반집 여성의 대략 60%는 폐경 이전에 사망했는데, 상당수는 출산 관련 질병이 원인이었을 것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브레이크 없는 수상태양광, 물 속 생태계는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21.02.06
전남 함평군 대동저수지에 설치된 수상태양광발전 시설.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국내 수상 태양광은 해마다 세계 최대 규모를 경신하고 있다. 좋은 쪽으로 세계에서 가장 잘하고 있다고 하니 자랑스러운 일이다. 게다가 태양광 발전 단지는 전 세계적으로 ‘핫하다’는 신재생에너지 시설이 아니던 ... ...
특정 공간과 장소 찾아가는 뇌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물체를 완전히 비우거나(왼쪽) 배치한(오른쪽) 원형의 통을 이동할 때 CA1 장소세포의 활성 정도.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의 해마에 있는 장소세포가 장소에 대한 정보를 마치 바코드처럼 저장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세바스쳔 로열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