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뚱뚱한 고양이 건강 괜찮을까…“영양소 흡수력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분석이다. 내장미생물의 구성은 변화했다. 면역체계를 억제해 세균과 싸우고
병원균
을 억제하는 비피더스균의 풍부도가 증가했다. 반면 섬유질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성 질환과 연관이 있는 콜린셀라균은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장내미생물 구성의 변화는 과체중인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 ...
역대급 '방수' 기술 개발…"오염방지 효과 탁월"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하는 파이프, 제빙기, 김 서림을 방지하는 유리창 등을 예로 들었다. 특히 의료현장에서
병원균
의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되는 방수제품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추석연휴 병원 갈 때 마스크 써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01
세포를 줄이는 약을 복용하고 있다. 타고난 질환과 약 복용의 조합으로 그레이스의 몸은
병원균
을 방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바깥활동을 최소화했다. 의료기관 방문은 불가피한 상황이었으나, 병원은 감염병의 온상이 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결국 감염병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접종하면 동일한 질병을 일으켜야 한다. 4.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동물로부터 동일한
병원균
이 다시 분리 배양되어야 한다. 이 원칙에 의거하여 그는 1876년 탄저병, 1882년 결핵, 1883년 콜레라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발견했다. 또한 그의 4원칙을 따른 학자들이 이 원칙을 이용하여 다른 감염병의 원인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항생제나 백신을 개발할 날만을 무력하게 기다릴 게 아니라 세균성 전염병이 발생하면
병원균
을 분석해 맞는 파지를 찾아 치료제로 만드는 소규모 공장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들 나라는 서구의 까다롭고 복잡한 신약 개발 시스템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허술함이 오히려 장점인 셈이다. 대장균 ... ...
근육 소모하는 면역세포가 감염병 '첨병'…지방 소모는 도움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3.07.25
연구에선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균을 사용했는데 종양과 만성질환 등을 일으키는 다른
병원균
에 대해서도 동일한 T세포의 작용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근육 소모가 감염과 싸우는 데 생산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감염에 대한 더 좋은 대항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미토콘드리아 부산물로 '
병원균
' 감염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연구진은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형성할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병원균
저항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며 "완전히 새로운 방법으로 세포 면역을 조절할 수 있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22일 ... ...
'대변이식'으로 치명적 장 질환 환자 호전...난치병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연구원 연구팀은 치명적인 위막(가짜 막)성 대장염을 일으키는
병원균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에 감염된 중년 남성 환자에게 최근 대변이식 치료를 실시했다. 몸을 가누지 못하던 환자는 3일 만에 거동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됐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에 감염되면 ... ...
병원균
방어하는 식물...유전적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12
반응하는 유전자들을 포함한 유전자군을 조절한다. DNA 메틸화가 감소하면 식물은
병원균
에 더 강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어 반응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농약 사용량을 감소시켜 친환경 농업 구현과 작물 수확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면역체계 활용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찬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6.07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았지만 면역반응을 통해
병원균
을 제거하는 항체의 특성상 뇌 안에 염증반응 부작용이 유도되고, 그 결과 인지기능 회복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기도 했다. 김찬혁 교수 연구팀은 몸속 세포가 끊임없이 사멸하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