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근소
조금
마이크
미소한
초미니
뉴스
"
미량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에서 고기 맛이?...반전 매력의 곰보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4.29
곰보버섯을 찾고선 엄청나게 감격하며 집에 가져와 요리를 해 먹었어요. 곰보버섯은
미량
의 독이 있기 때문에 생으로 먹으면 안 되지만, 열을 가해서 먹으면 안전하답니다. 작년 5월 박상영 작가가 강원도 오대산에서 발견한 마귀곰보버섯의 모습. 박상영 제공 ● 치명적 독을 품은 마귀곰보버섯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챗GPT에 쓰인 기술로 다공성 소재 물성 예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민석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팀이 임상 시료 중 극
미량
으로 존재하는 희소 세포 분석에 용이한 무손실 면역세포화학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씨티셀즈와 공동으로 개발한 이 기술은 초박막 하이드로젤을 이용해 유체 교환은 용이하되 세포 손실은 ... ...
특정 화학물질이 코로나19 감염에 미치는 영향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인체 면역력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POPs와 화학물질(일부 금속, 필수
미량
원소, 희토류 원소 등)에 주목했다. 이러한 물질이 코로나19 감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코호트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16년 바르셀로나 연구소에 보관된 240명으로부터 채취한 ... ...
손톱크기 만한 전자코, 집 안 여러 유해가스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혼재하기 때문에 특정 가스만 검출할 수 있는 선택성도 높여야 한다. 연구팀은 매우
미량
의 농도의 유해가스를 여러 가스들이 혼재한 상황에서도 검출할 수 있는 전자코를 개발했다. 특정 유해가스들을 약 44배 더 민감하게 잡아낸다. 또 여러 종류의 유해가스를 한번에 검출해 실내 공기질을 ... ...
호흡 속 가스 분석해 질병 진단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고감도와 고선택성으로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개발된 센서는 호흡 속에 포함된 극
미량
의 수소가스를 4초 이내로 검출하는 게 가능하고 호기에 포함된 고농도 수분에도 높은 안정성을 보여 주변 환경 변화에 관계없이 호흡 속 생체지표 가스를 정확히 검출해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 ...
반도체 공정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결과 300Hz(헤르츠) 고속으로 토출되는 1㎍(마이크로그램·1㎍은 100만분의 1g) 수준의 극
미량
까지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실제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10㎍~100mg 수준의 토출량도 실시간 측정이 가능해진 셈이다. 이번 성과로 반도체 공정 디스펜서의 토출량을 실시간으로 비접촉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극
미량
액체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 KAIST는 이정철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소자를 이용해 극
미량
의 유체에 대한 열전달 측정과 공정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 플랫ㅍ모 ‘열원-미소채널 통합 공진 센서’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개발한 플랫폼을 이용해 20피코리터 이하 액체의 ... ...
그린수소 생산 '세라믹 전지' 상용화 돌파구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사실에 주목했다. 다양한 모델실험을 실시한 결과 전극에서 생성되는 중간상으로부터
미량
의 소결조제 물질이 소결체의 밀도를 향상시키거나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소량 첨가하는 기능성 물질이 기화돼 전해질로 공급됨으로써 전해질의 소결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 ... ...
플라스틱 대체제도 신경독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행동학·대사체학·전사체학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환경 중 존재하는
미량
의 비스페놀 F가 제브라피쉬의 혈액뇌관문(blood brain barrier·BBB)을 투과해 뇌조직에 축적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불안 반응이 증가하며 먹이 탐색을 위한 인지·기억력이 저하된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신경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신경장애나 근무력증이 생긴다. 이때 스트리크닌을
미량
복용해 글라이신수용체 활성을 떨어뜨리면 신경 활동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지난 2015년 학술지 ‘네이처’에는 사람의 글라이신수용체에 스트리크닌이 달라붙었을 때 구조가 어떻게 바뀌어 비활성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