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페더
솜
털
우모
뉴스
"
깃털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4색형 색각에서 비스펙트럼 색으로 보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반면 3색형 색각인 사람은
깃털
색에서 불과 7%만을 비스펙트럼 색으로 보고 식물 색도 19%만 비스펙트럼 색으로 본다. 그나마 식물 색에서 비스펙트럼 색 비율이 높은 건 식물에만 존재하는 색소인 안토시아닌 덕분에 자주색 계열이 흔하기 ... ...
[인간 행동의 진화] 진정한 사랑?...마음 속에서 스스로 생겨나는 것
2020.09.27
수동적 반응을 일컫는다. 동물은 ‘의식적’으로 자신의 반사를 억제하기 어렵다. 코에
깃털
이 들어가면 재채기를 하고, 큰 소리가 들리면 귀가 쫑긋거린다. 아마 원시적인 동물은 이러한 반사 행동만 있었을 것이다. 같은 종에 속하는 동물은 같은 자극에 같은 반사 반응을 보였을 것이다. 원시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색을 발현시켰다. 종별 또는 부위별로 0.05~0.31% 의 다양한 반사율을 가진 울트라블랙
깃털
을 갖고 있다. 연구자들이 울트라블랙을 연구하는 건 단순히 호기심 때문만은 아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특히 나비의 날개는 울트라블랙을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얇고 견고하다”며 “나비의 ... ...
[표지로 읽는 과학]카나리아 암수
깃털
색 차이를 만든 단 하나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주로 발견되는 색소다. 색이 덜 화려한 카나리아 암컷은 BCO2 성분이 많이 나오며
깃털
이 색색으로 물드는 것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암수의 차이에 대해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BCO2 발현을 조절하는 것 같다는 가설을 제시했지만 추가 연구가 이어지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새의 ... ...
늘어나고 쪼그라들면 색이 바뀐다…웨어러블기기용 변형 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특정한 빛의 파장만 반사 또는 흡수돼 색을 나타낸다. 나비나 풍뎅이, 비둘기 등 새의
깃털
등 동물에서 보이는 반짝이는 색이 구조색이다. 연구팀은 부드럽고 잘 휘어지는 재료인 폴리다이메틸실로세인(PDMS)을 이용해 최대 100%까지 압축되거나 늘어날 수 있는 센서를 만들었다. 바닥을 고정시킨 채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야간투시장비를 설치했다. 펭귄이 감염병에 노출됐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혈액과 뼈,
깃털
등도 모았다. 육식 동물은 역할을 하지 않았다. 펭귄을 검사했을 때 고양이나 쥐에 물린 흔적은 어디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카메라에도 공격의 흔적이 없었다. 질병 또한 후보가 아니었다. 연구팀은 혈액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8일 화려한
깃털
을 자랑하는 열대 지방의 새가 강렬한 눈빛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이번 표지의 주제는 중앙아메리카의 새 다양성에 농업 형태가 미치는 영향이다. 그레첸 데일리 미국 스탠퍼드대 보전생물센터 교수팀은 코스타리카의 네 ... ...
[영상+]발가락 이용해 날개 쥐락펴락… ‘비둘기 비행’의 비밀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빠르고 강한 공기를 불어넣는 풍동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관절과 발가락 동작이
깃털
배치와 날개를 펼치는 정도를 조절하는 데 미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칭적인 관절과 발가락의 움직임이 날카로운 각도로 비행할 때도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준 것이다. ... ...
[프리미엄 리포트]"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과학동아
l
2020.01.11
있는 개체가 암컷”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펭수가 혈액이나 모근이 달린
깃털
을 제공해 준다면 유전자를 분석해 성별을 확인해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펭수는 스타답게 ‘열애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하지만 펭수는 공식적으로 성 정체성이 없는데, 연애 감정이 생길 수 ... ...
남극 공룡의
깃털
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12.05
웁살라대 진화박물관 큐레이터는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공룡이 극지에 적응하기 위해
깃털
을 사용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곤드와나 리서치’ 11월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16/j.gr.2019.10.004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