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서리
모퉁이
귀퉁이
각도
어귀
길목
모
뉴스
"
구석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조언을 하는 사람도 동기부여가 된다
2020.01.25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또한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즉 내가 쓸모있는
구석
이 있다는 느낌을 받음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다. 사회 초년생들이나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쩌면 멘티 못지 않게 멘토의 자신감과 동기가 향상되는 효과가 클지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할 것 같다. 10년을 마무리하는 글로는 무게감이 좀 떨어지는 것 같지만 나름 흥미로운
구석
은 있다. 냄새를 감지해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후각계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왼쪽 비강 위쪽의 네모 부분을 확대한 오른쪽 그림을 보면 후각상피(아래 주황색)에 있는 후각수용체뉴런(olfactory receptor)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시신은 정식으로 묻히지도 못하고 피렌체에 있는 산타크로체 성당의 조그만 예배당 한
구석
의 쪽방에 묻혔다. 지금도 이곳에는 갈릴레오 흉상이 벽면에 걸려 있다. 한참 뒤인 1703년에는 제자였던 빈센초 비비아니가 사망한 뒤에 갈릴레오 옆에 묻혔다. 그리고 1737년에 드디어 갈릴레오의 묘가 ... ...
[영상+] "이쪽으로 대피하세요" AI가 지하철 화재시 가장 안전한 대피로 알려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열었다. 시연회는 승객이 가장 적은 시간인 오전 11시 30분에 지하철이 서지 않는 역사
구석
에서 진행됐다. 대전도시철도공사 직원들이 승객으로 나서 훈련에 함께 했다. 연구팀은 AI에 두 가지를 학습시켰다. 하나는 지하철 역사 내부에 설치된 30여 개의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모은 온도와 ... ...
[기자의 눈] 해무는 '빨리' 달리고 싶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계획을 밝히며 수출에도 힘쓰겠다는 계획을 서둘러 발표했다. 하지만 해무는 지금 한
구석
에서 잠에 빠져 있다. 이달 5일 충북 청주 오송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열린 시연회에서 해무를 6년 만에 다시 만날 수 있었다. KTX와 달리 고급 가죽 시트로 포장된 자리 위에는 독서등이 달려 있었다. 좌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발표를 앞둔 사람에게 도움될 조언 아홉가지
2019.11.09
생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있었다. 감정이라는 것은 생각보다 꽤 애매한
구석
이 있어서 똑같이 심장이 뛸 때 옆에 매력적인 사람이 있으면 ‘반했다’고 느끼는 반면 싫은 사람이 있으면 ‘화났다’가 되는 등 해석에 따라 최종 경험이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신남과 긴장 역시 ... ...
"부산과학관장, 캠프장 예약 막고 송년파티"… 고현숙 관장 "은퇴한 과학교사 위한 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자유한국당 송희경 의원. 연합뉴스 제공 고현숙 국립부산과학관장에 대한 가족캠프장 유용 의혹이 제기됐다. 가족캠프장은 부산과학관 ... 현대자동차 전시를 했지만 모든 비용은 현대자동차에서 부담했다”며 “믿는
구석
이 있어서 그러신건지 감사 조사가 필요하다”는 말을 덧붙였다. ... ...
거대한 토끼 ‘화제’
팝뉴스
l
2019.10.03
모습만 봐도 기분이 좋다는 게 많은 네티즌들의 평가다. 그런데 사진에는 특이한
구석
이 있다. 토끼가 거대한 것이다. 머리와 몸통의 크기가 보통 토끼의 다섯 배는 되는 것 같다. 토끼가 정말 저렇게 클 수 없다면서, 개가 작은 종이라서 착시를 일으킨 것이라고 주장하는 댓글도 적지 않다. ... ...
고양이도 개만큼 주인 잘 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핥는 등 스트레스 징후를 보인다. 회피 애착을 가진 고양이는 보호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구석
에 가만히 웅크리고 앉는다. 양가형 애착을 가진 고양이는 보호자의 무릎에 뛰어올라 움직이지 않고 매달린다. 주인과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고양이는 주인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웅크리는 회피형 애착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환경의 힘으로 인해 적응돼왔을 수 있다는 생각. 1837년부터 다윈은 자신의 비밀 노트 한
구석
에 한 종이 새로운 종으로 가지치기를 해나가는 계통도를 그리기 시작했다. ‘종의 기원’의 탄생과 자연 선택 이론 찰스 다윈: 진화론의 대부 찰스 다윈. (사진제공 오클랜드박물관) 1838년 다윈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