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모
기진
소진
굶주림
기근
기근기아
결핍
뉴스
"
고갈
"(으)로 총 247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에도 대기에 수백 년 동안 흔적 남기는 거대폭풍 분다"
연합뉴스
l
2023.08.14
10년 발생한 거대폭풍의 여파로 맨눈으로 보이는 얼음 구름 바로 아래의 암모니아 가스가
고갈
됐음을 시사한다. [R. J. Sault and I. de Pat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40여년 간 태양계 가스형 행성들을 연구해온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임케 드 페이터 교수는 이 연구에서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전파망원경 ... ...
인간 파일럿 대체할까…KAIST,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파이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9
높으며,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장갑차 등 다양한 장치의 조작도 가능해 병력자원
고갈
이 심각한 현 상황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로봇의 개발 완성 시점은 2026년이다. 연구팀은 민간 및 군용 활용을 목적으로 사업화 방안도 모색중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9000만톤이 쓰인다. 게다가 천연수소는 계속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 정도 사용량으로는
고갈
될 염려도 없는 재생에너지라는 것이다. 사문석화로 수소가 만들어지는 반응의 한 예로 철감람석(fayalite)이 고온고압에서 물과 만나면 석영(quartz)과 자철석(magnetite)으로 바뀌며 수소가 나온다. PNAS 제공 ... ...
[프리미엄리포트] 고열 견디는 합금, 에너지 위기 해결에 일조할까
과학동아
l
2023.03.11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누가 좋아하랴. 하지만 지금처럼 에너지와 자원이 빠른 속도로
고갈
된다면 아찔한 상상은 현실이 될 수 있다. 우리 다음 세대는 문명을 누릴 권리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고용체(합금) 고체의 결정 속에 다른 원소의 원자가 섞여 들어가 균일하게 분포한다. 적당한 ... ...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번식력을 유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중에 방출되지만 대부분은 단순히 죽기 때문에 난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고갈
된다. 대조적으로 여왕자리에 오른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노년기에도 바로 번식이 가능해 과학자들은 이들이 번식력 감소를 피하기 위한 특별한 생물학적 시스템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해 왔다. ... ...
KAIST, 화학물질 생산 주목받는 '대사공학' 30년사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박사과정생은 “기존 석유화학 공정 기반의 화학물질 생산으로 기후 위기와 화석 연료
고갈
문제를 고려했을 때 대사공학을 이용한 화학물질의 지속 가능한 생산 연구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대사공학의 역사를 돌이켜봄으로써 대사공학의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영양염 부족 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영양염
고갈
이 가장 큰 아열대 해역에서는 생산성이 기존 예측 값과 최대 200%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이 강화되면 바다는 대기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효과도 ... ...
바다 식물 플랑크톤, 기후변화 막는 방어막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분석됐다. 권은영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영양염
고갈
이 가장 큰 아열대 해역에서는 생산성이 기존 예측 값과 최대 200%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높아지면 바다는 대기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어 기후변화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tumour cell) 표면 단백질인 PD-L1이 T세포 표면의 PD1을 붙잡는 것과 함께 주변 영양분을
고갈
시켜 힘을 뺀 결과다(왼쪽). 이때 암세포가 내놓는 노폐물인 암모니아를 아미노산 아르기닌으로 쉽게 바꾸는 대장균 균주(bacterium)를 넣어주면 T세포가 기운을 차려 암세포를 공격한다(가운데). 여기에 PD-L1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창궐하고, 큰빗이끼벌레와 같은 흉측한 괴생물체도 등장한다. 결국에는 용존 산소가
고갈
되면서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고, 강을 삶의 터전으로 삼는 새들도 사라져 버린다. 녹조가 심각한 유역의 농작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과 같은 독소가 검출되기도 한다. 무작정 보를 개방하거나 해체해버린다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