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어린이과학동아
"
가설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저희 학교랑 옆학교 난리부루스 났어요
포스팅
l
20220928
사이 안 좋은 애들은 진짜 웬수인데더 나빠지겠네요(저희 아파트 쪽 놀이터 보면 서로서로 친절하게 욕을 함일단 제가 생각하는
가설
?1. 우리 학교에 진짜 인성 쓰레기가 있어서 절도했다2. 사칭..? 알고보니 중학생인데 키가 작고 해서 초딩으로 사칭3. 그쪽 학교에는 범인이 없다지만... 알고보니 이간질하려고 사ㅊ4. 우리 학교에서 인성 쓰레기 나 ...
스피노사우루스의 대한 거의 모든 것 ꧁༺합본༻꧂
기사
l
20220924
결과 니자르 이브라힘 등의 비율에 동의한다는 뜻을 나타내 이브라힘의 비율이 맞는 것으로 완전히 잘못 결론났다. 5. 그 외의
가설
들 고생물학자 제이미 헤든은 대부분의 수각류들의 앞발은 운동 범위가 상당히 작으며 몸무게를 지탱하기에 부적합한 구조라는 점을 밝히고, 스피노사우루스의 4족보행설을 부정하였다. 게다가 스피노사우루스의 앞발은 다른 수 ...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기사
l
20220827
양육 태도에서 생기었다는
가설
이 있었지만 현재는 유전적 결함이나 뇌기능 손상과 같은 생물학적인 요인 등이 더 설득력 있는
가설
이라고 인정받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조기진단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만 18개월 이후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발병률과 치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자폐 스펙트 ...
7777777
기사
l
20220803
'칡뿌리'의 방언이야. 그런데 이 단어 또한 '7'로 시작하지. 일부 고대인들은 7을 위대한 숫자로 모셔 신으로 모시기까지 했다는
가설
도 떠돌았을 정도였다니까. 하지만 역시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정 되었지. 그리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숫자도 7인데...(?) by ... ...
여러분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아시나요?
포스팅
l
20220802
뇌'로 설명하는 공감-체계화 이론(empathising-systemising (E-S) theory)이 설명을 제시하기도 했으나 이것들은 여전히 합의된 사실이 없는
가설
입니다. 오늘 이렇게 영우가 가진 자페 스펙트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 이상 김다율이 알려드리는 ' 여러분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아시나요' 이었습니다! 제 기사 ...
신기하고 공감가는 현상들
기사
l
20220731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단어를 많이 아는 사람 일수록 머리속에 찾아야 할 단어가 많아서 바로 기억하지 못 한다는
가설
이 있어요. 그러니 단어를 제때 떠올리지 못 한다면 단어를 많이 아는 사람일 수도?! 2. 슬립 스타트 현상 졸음을 참거나 오랫동안 깨어 있을 때, 무심코 꾸벅 졸다가 다리나 팔의 근육이 경련해서 깨는 경우가 있어 ...
공룡은 왜 클까??
기사
l
20220630
쥐라기 공원과 같이 공룡 영화를 보면 공룡들은 매우 크게 묘사되어 있어요. 그런데 왜 공룡은 어마무시하게 클까요? 여기에는 다양한
가설
(추측)들이 있지만 오늘 그 중 2가지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1. 공룡이 살았던 시대에 산소가 많아서 공룡은 파충류여서 피부로 숨을 쉬는데, 피부가 넓을수록 숨을 더 많이 쉽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숨 ...
해양생물의 숨겨진 사실들
기사
l
20220619
온혈동물로 진화해 전 세계 바다에서 서식이 가능하고 사냥 성공률도 높습니다. 추가로, 백상아리가 메가로돈을 멸종시켰다는
가설
도 있는데 확실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출처: https://www.huffingtonpost.kr/2016/01/20/story_n_9025328.html 3. 생존률이 낮은 개복치, 성체는 아주 잘 산다? 세 번째로 ...
원숭이,셰익스피어 되다!
기사
l
20220509
바탕으로 논문을 제출한다는 내용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많은 수학자들이 `무작위로 자판을 무한번 두드리면 책을 쓸 수 있다'라는
가설
을 밝히러 뛰어듭니다. 보렐도 이 중 하나 였죠. 보렐은 학생이 아닌 원숭이가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만든다고 가정했습니다.(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셰익스피어가 많은 단어를 만든 영국의 대문호라 많은 단어를 칠 수 ...
헉! 우리가 모르던 신기한 현상들!!
기사
l
20220403
밝혀지지 안왔어요. 그런데 단어를 많이 아는 사람일수록 머리 속에서 찾아야 단어가 많아서, 그 결과를 바로 기억하지 못 한다는
가설
이 있어요. 그래서 어린이보다 어른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시험 때 단어를 떨리지 못 한다면, 반대로 단어를 많이 알고 있는 걸지도요?! 사진출저: 아이들도 잘 모르고 어른들은 더 모르는 신기한 현상사전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