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휴대폰
7.5mm핸드폰
pmp
휴대폰 기기변경
휴대폰9100
블루
휴대폰기기변경
d라이브러리
"
019
"(으)로 총 9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스크린이, 관람석은 강의 테이블이 대신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KAIST ‘AI 월드컵 2
019
국제대회’를 직접 관람해봤다. 선수는 5명, 전·후반 10분 경기올해 대회에는 11개국에서 21개 팀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 미국, 브라질 등이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기자가 현장을 찾은 11월 1일은 16강전이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뇌 신호를 언어로 바꿔 음성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86-
019
-1119-1 연구팀은 올해 8월 페이스북과 공동으로 개발한 웨어러블 뇌-컴퓨터 접속기술 장치도 공개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뉴럴링크(Neuralink)도 올해 7월 원숭이를 대상으로 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를 ... ...
[과학뉴스]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뇌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것이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브루스 얀크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뇌세포의 전기적 활동 정도가 노 ... 수명의 흥미로운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86-
019
-1647-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영국 랭커스터대와 옥스퍼드대 등 공동연구팀이 외부 자극이 없어도 진동할 수 있는 나노 전자회로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기 ... 하는 현미경이나 양자유체의 점성 등을 측정할 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
019
-0683- ... ...
[과학뉴스]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화성을 탐사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 로봇(로버)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소금 호수의 흔적을 발견했다.윌리엄 라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박사후연구원이 이끄는 연 ...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 10월 7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61-
019
-0458-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배아를 대리모 돼지의 자궁에 착상시켜 최대 70일 동안 키울 계획이다. doi: 10.1038/d41586-
019
-02275-3나카우치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실험은 키메라 배아로 특정 장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췌장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는 세계 ... ...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스위스 연구팀이 지진 발생 시 뒤따라오는 지진이 얼마나 강력할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취리히연방공대 스위스지진학서비스(SED) 연구팀은 지진의 규모와 횟수 사 ...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
019
-1606- ... ...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외계 행성의 대기에서 물의 존재가 확인됐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물리학및천문학부 연구팀은 사자자리에 있는 외계 행성인 K2-18b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존재할 ... 중 생명체가 만들어낸 메탄 등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50-
019
-0878- ... ...
[과학뉴스]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다량의 데이터를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학습시켜 데이터의 핵심 패턴을 뽑아내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법으로 엘니뇨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함유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기계 ... 예측했고, 엘니뇨에 앞서 해수면의 온도가 어떻게 변할지도 알아냈다. doi: 10.1038/s41586-
019
-1559- ... ...
[과학뉴스]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구부리거나 늘리거나, 심지어 비틀어도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유연한 전극이 개발됐다.이신두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해 물리적 변형에도 전기 ... 있는 전극을 만들었다. 개발된 전극은 40%가량 늘려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했다. doi: 10.1038/s41598-
019
-49322-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