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적
자취
흔적
발자취
d라이브러리
"
행방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예측하는 왜소은하와 관측되는 왜소은하의 개수 사이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
행방
불명된 왜소은하 문제’라 부른다. 이는 차가운 암흑물질의 계층적 은하형성 모형에서 설명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이다.그런데 왜소은하의 잔재인 구상성단을 고려하면 그 심각성을 상당히 완화시킬 수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들 수 있다. 가위바위보 한판에 수십억 원! 가위바위보 한 판으로 수십억 원의
행방
이 결정된 사건이 있었다. 2005년 일본의 한 전자업체의 하시야마 다카시 사장은 200억원이 넘는 인상파 화가들의 그림을 경매해 줄 회사를 찾고 있었다. 수십억 원의 수수료를 남길 수 있었기에 예술품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싫다고?김상욱 지음|한승|272쪽|1만 2000원영화 ‘해리포터’와 만화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
불명’에는 어떤 과학 원리가 숨어 있을까. 과학의 대중화에 앞장서온 저자는 영화가 연상시키는 일상적인 과학 원리를 에세이 형식으로 재밌게 풀어낸다. 가볍게 책을 읽다 보면 어느새 영화를 볼 때마다 ... ...
뒤지지 않는 항공우주 자존심 - 유럽우주국(ESA)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동안에도 비글2호는 소재조차 파악되지 않았다. 결국 유럽우주국의 비글2호는 1년 뒤
행방
불명으로 처리됐다. 미국항공우주국이 한 나라에 소속돼 있다면 유럽우주국은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의 17개 회원국이 참여해 운영하는 연구기관이다. 파리에 본부가 있고, 우주연구 및 ... ...
8월의 페르세우스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혜성과 동일한 혜성일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제시했다는 점이었다.스위프트-터틀 혜성의
행방
을 찾던 마스덴은 이 기록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스위프트-터틀 혜성과 케글러 혜성이 동일 혜성이라면 획기적인 자료가 제시되는 셈이었다. 그리고 그는 지난 예측의 실패를 거울삼아 1737년과 1862년에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동굴로, 동굴 안에는 여러 가지 시설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실종된 어둥굴차자스키의
행방
은 과연 어떻게 된 것일까? 국제동굴협회는 실종자를 찾기 위해 동굴탐사대를 만들었고 탐사 대장으로 썰렁 홈즈가 선정되었다. 과연 썰렁 홈즈는 어둥굴차자스키를 찾을 수 있을까? 그리고 동굴 안에는 어떤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33억t과 20억t이라면, 나머지 18억t은 어디로 간 것일까. 과학자들은 현재 부족한 탄소의
행방
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유력한 가능성으로 생각하고 있다. 녹색식물의 집합체인 숲은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다. 그 양을 평가하기 위해 세계 곳곳에서 많은 ... ...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치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그러나 오랫동안 문헌목록으로만 전해졌을 뿐
행방
을 알 수 없었다. 까맣게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던 이 책이 한 서지학자에게 발굴된 것은 지난 2003년. 역자인 김종덕 사당한의원장의 1년이 넘는 한글 번역작업 끝에 지난 1월 완역됐다.김 원장은 “당시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결론을 내리고 논쟁을 끝냈다. 이후 더 이상의 논쟁은 이뤄지지 않았고 작품의
행방
도 알려지지 않았지만 가짜라는 것이 학계와 전문가들의 중론이다.이중섭 그림 75% 가짜1999년엔 한국고미술협회의 전직 회장과 부회장 감정위원 등이 가짜 회화와 불상 1천여점을 만들어 거래하다 구속되는 사건이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아프리카 탐험의 영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스탠리는 신문기자로서 그 영웅의
행방
을 찾다가 그의 뒤를 이어 탐험가로 변신한 인물이다. 이들은 중앙 아프리카를 주로 탐험했다. 그런데 리빙스턴은 자신이 만난 부족들에서 식인 풍습을 전혀 언급한 적이 없었다. 이에 반해 스탠리의 여행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