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데"(으)로 총 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이름은 파랑? 초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왜 감쪽같냐고? 한국어는 ‘초록’과 ‘파랑’을 구분하지만, 둘을 구분하지 않고 한데 묶어 부르는 언어도 많아서다. 이런 언어에서는, 예를 들어 19마리의 곰돌이가 다 ‘푸르다’고 한다. 하늘과 초원이 똑같은 색으로 기록된다. 왜 ‘빨주노초파남보’ 중 유독 파랑과 초록 사이에서만 혼란이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잔뜩 나왔습니다. 역시 홀로그램 영상도 있었는데, 뜨차 행성의 정글 마을 사람들이 한데 모여서 손을 흔들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겨울을 무사히 날 수 있었어요. 우주는 말도 못하게 춥다는데, 부디 따뜻하게 지내길 바라요~!”딱지는 다른 상자도 하나하나 뜯어봤습니다. 전부 고맙다는 인사가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강구해야 합니다. 기상학자들은 전 세계 각지에 설치된 지상관측기기에서 축적된 자료를 한데 모아 강수입자 크기 분포를 분석하는 방법을 생각해 냈습니다. 기상학에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한 셈입니다. 강수입자 크기 분포를 알면 강수 유형을 분류하고 강수 구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 ...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크게 기계적 재활용과 화학적 재활용으로 나뉜다. 기계적 재활용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한데 모아 잘게 자르고 이를 녹여 다시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방식이다.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의 재활용은 대부분 이 방식을 택한다. 하지만 폐플라스틱의 오염도에 따라 재활용 플라스틱 ... ...
- [매스크래프트] #20. 오싹! 귀신의 집보다 더 무서운 비둘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무서운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비둘기예요. 이번 호에는 제 등골을 오싹하게 하는 것들을 한데 모아 ‘귀신의 집’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편집자 주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 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는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을 하는 것이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우주복을 입은 페가수스 선장이 다가와 말했습니다.“도굴단을 막는 데 성공한 것 같긴 한데 영 꼴이 말이 아니구만, 해롱 선장. 뒷정리는 우리가 할 테니 염려 말게.”“뭐야? 네가 안 왔어도 우리가 이미”해롱 선장이 버럭 화를 냈지만, 페가수스 선장은 우아하게 몸을 돌려 떠났습니다.“으재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들어가고 말았습니다.“으아아악!”쿵-.“에구구, 이게 뭐야?”“어떻게 된 거야?”넷은 한데 뒤엉켜 어딘가에 부딪힌 모양이었습니다. 딱지가 눈을 뜨니 사방에 흰 벽이 보였고, 몸이 어지럽게 돌아가고 있었습니다. 딱지는 추진기를 조종해 움직임을 멈췄습니다. 곧 나머지 일행도 안정을 ... ...
- [긱블X과학동아] 프X글스 리프터│나중의 편함을 위해 지금의 귀찮음을 감수한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사용합니다. 긱블 기사답지 않게 고루한 설명이 길어지는 것 같아 살짝 불안한데요. 그러니 한 가지 기어만 더 소개하겠습니다. 기어 축이 수직으로 배치된 베벨기어입니다. 두 개의 기어가 수직으로 맞물려 있어서 동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방향도 전환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베벨기어 역시 ... ...
-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확인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포털에 지난해 연재된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럼을 한데 모았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는 10년 이상 인기리에 연재중인 국내 대표적인 과학 에세이로, 강 작가는 매년 연재분 가운데 정수를 가려 모아 책으로 발간해 왔다. 이번 책은 이 시리즈의 열 번째다. 척박한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데이터의 범위가 넓지 않다. 이 책임연구원은 “핵종별 방사능 농도의 경우 여러 탱크를 한데 묶어 평균을 낸 값을 제공하고 있으며, 오차나 측정 불확도가 정확히 공개돼 있지 않다”며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도쿄전력이 자세한 데이터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방사성 물질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