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계"(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작동을 시작한다”며 “이 장비로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를 더 높은 한계까지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몰리브데넘-100의 이중베타붕괴는 예미랩 검출기에서 1초에 2개쯤 관측되겠지만, 중성미자 없는 이중베타붕괴는 1년에 고작 1~2번 미만일 것이다. 확률이 너무 낮은 것이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발견할 수 있게 됐거든요. 수학자가 새롭게 발명하는 여러 개념과 이론 또한 지각의 한계를 넘어서 더 놀라운 수학적 세계를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수학자는 수학을 발견과 발명 중 무엇으로 보나요? 수학자 : 수학자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어려운 질문이에요.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망해 보인다. 필자는 한국의 아토초 과학도 높은 수준에 올라와 있다고 믿는다. 인류의 한계에 도전하는 초고속 현상 연구에서 한국의 기초과학이 빛을 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필자소개 김경택. KAIST 물리학과에서 ‘아토초 펄스의 생성과 측정’에 대한 연구로 석사 및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위해서라는 겁니다. 산소-28에 미련 가질 이유 없이, ‘앎’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존재 한계선 안쪽 원소들에 집중한다는 뜻이죠. 우문현답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필수적입니다. 소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지 못한 채 응용에 치중한 연구는 장기적으로 한계를 맞을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자 독자, 청소년 독자 여러분이 신기술의 근본 원리에 대한 기초 연구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면, 독자 기술로 슈퍼커패시터를 만들 날이 곧 오리라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004년에는 값싸고 안전한 물질인 염화철을 전구체로 이용해 독성이 강했던 기존 전구체의 한계를 극복한 논문을 냈다. 이 논문의 인용 횟수가 현재 4574회에 달한다. doi: 10.1038/nmat1251 이 논문들 덕에 양자점 연구계의 ‘이너 서클’에 들어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Q. 이번 노벨 화학상 수상자 발표 이후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언어로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송 교수는 “나라마다 다른 과학 용어를 통일하는 것부터 어렵다”고 말했다. 오 씨 역시 “참고할 자료를 찾다보면 중국어, 독일어 논문이 등장하는데, 그러면 또 다시 언어의 벽에 가로막힌다”며 ... ...
- 동아사이언스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나의 채티에게’ 촬영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채티’였죠. 혜주 학생은 “기존의 작품에서 채티는 채팅앱이라 실물로 보여주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한참을 고민하고 찾은 후에 미래적이면서 따뜻한 느낌을 내는 소품을 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촬영 담당은 콘티를 확인하며 그에 맞는 장면을 담기 위해 어디에 카메라를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전환이 나노의학 연구단의 목표입니다.”나노물질로 암 조기진단 가능해의학의 한계는 곧 나노의학의 목표다. 대표적인 것이 정확한 조기진단이다. 폐암 1기의 생존율은 80%인 반면 4기의 생존율은 10% 수준이다. 즉 암 진단이 조기에 이뤄질수록 환자는 적은 노력으로 빨리 건강해질 수 있다. 천 ... ...
- [만화뉴스] 다리가 늘어날수록 빨라진다? ‘지네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필요해요. 하지만 울퉁불퉁한 길에서는 센서조차 환경의 변화를 잘 알아채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죠.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지네 로봇은 수색이나 구조, 화성 탐사 등 극한 환경에서 쓰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