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습시간"(으)로 총 1,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7번째 이야기가 시작됐습니다. 이번 영화에서는 옵티머스 프라임이 이끄는 ‘오토봇’ 군단과 새롭게 등장한 동물형 로봇 ‘맥시멀’ 군단이 힘을 합쳐 악의 무리에 맞서 싸웁니다. 더욱 강해진 로봇 군단을 현실 속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요. 이야기는 전 우주의 행성 ... ...
- [수학 상위1% 비밀무기] 대구과고 수학 1등 비결은? 시간단축 공략법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엄마, 나 커서 필즈상 탈 거야. 두고 봐.”중학교 1학년 때부터 필즈상이 목표라고 당차게 말하던 영재학교 학생이 있습니다. 계획이 다 있는 건지, 현재 학교 선생님이 모두 인정하는 수학 상위 1%라는데요. 놀랍게도 초등학생 때까지 “수학 너무 재미없어”라고 말했다네요. 도대체 어떤 계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그렇다. 측우기는 세종이 만든 게 아니다. 측우기는 훗날 문종이 될 세자의 아이디어로 제작됐다. 측우기는 강우량을 측정하는 측정기구다. 단순해보이는 측우기가 왜 중요한 발명으로 칭송받는지 이해하려면, 조선이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는 농경사회였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당시 풍작과 흉작은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배틀그라운드’의 회사, 크래프톤에서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업무와 게임에 적용할 ‘언어 AI’를 연구하고 있어요. 왜 그런지, AI 연구원이 되려면 어떤 소양이 필요한지 자연어 처리 및 음성팀의 이기쁨 팀장과 양성준 연구원을 만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크래프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 편집자 주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코너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지켜봐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립니다. 연재는 끝났지만 이과에게 시켜보고 싶은 일이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에 제보해 주세요. AI에게는 없는 발로(!) 뛰어보겠습니다 (lecia@donga.com). 잠을 충분 ... ...
- 영재학교 학생이 챗GPT 쓰는 이유는? 빠르고 문제 해결 힌트 준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현재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은 어떻게 챗GPT를 사용하고 있을까? 챗GPT 사용을 허용할 지 말지를 두고 갑론을박 하느라 조심스러운 학교도 있지만, ‘시대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는 입장인 학교에서는 활발하게 챗GPT를 활용 중이다. 김백진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세과영) 수학 교사는 최근 챗GPT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가올 미래, 바이오컴퓨터는 어떤 형태일까. 그것을 만들려면 무엇을 해결해야 하며, 결국 구현해 낸다면 어떤 문제를 풀 수 있을까?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지속해 온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가 궁금증 가득한 바이오컴퓨터의 미래를 생물학자의 시선으로 톺아봤다. 뇌 오가노이드를 크게 만드는 ... ...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챗GPT는 수학 계산을 잘하지 못 한다. 대량의 언어 정보를 학습해 언어로 답을 내놓는 ‘대규모 언어 모형(LLM)’이라 다른 것에 비해 수학에 약하다. 그런데 나보다 수학을 못하는 친구한테 수학을 배우라니! 어불성설 같지만 수학을 학교에서 왜 가르치는지를 생각해보면 틀린 말이 아니다. 수학은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두 번째 토론을 시작하며 김 교수는 “첫 번째 토론에서 대전과고가 챗GPT에 대해 긍정적 입장, 세과영이 부정적 입장이었는데 이번 토론에선 반대로 세과영이 긍정적 입장, 대전과고가 부정적 입장”이라며, “앞서 자신이 사용했던 논리와 근거를 부정해야 해서 곤혹스럽겠지만 한 주제를 상반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AI 이용하는 인간의 통찰력이 중요 최근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만들어내는 ‘생성형 AI(인공지능)’가 화제다. 대화형 AI로 유명한 ‘챗GPT’도 그중 하나다. ‘AI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구체적인 답이 나오기도 전에 이미 여러 종류의 AI가 등장해 산업에 쓰이고 있다. 워낙 많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