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호
소개
철수
명도
비호
엄호
도피
d라이브러리
"
피난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구조대의 신호가 잡혔다. 고 씨는 텐트 밖으로 나가 모닥불을 피우고 신호탄을 터뜨려
피난
처의 위치를 알렸다.하지만 무전기에서는 “헬리콥터의 연료가 충분치 않은데다가 날이 어두워 구조가 힘드니 내일 아침까지 견디라”는 답이 돌아왔다.동이 트기가 무섭게 우주인들은 짐을 챙겨 눈밭으로 ... ...
하회마을 금빛 모래톱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힘을 겨루는 처절한 ‘결투’가 만드는 다양한 물속 지형덕분에 홍수 때 물고기는
피난
처를 얻는다.하지만 급작스런 환경 변화로 모래톱의 균형이 무너지면 하천의 건강도 눈에 띄게 나빠진다. 마구잡이식 개발과 산불로 지반이 약해져 산사태가 발생하면 토석류가 자기 자리를 떠나 하천으로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붉게 솟아올랐던 바닥도 가라앉았다. 마을을 지키던 다른 사람들이 승리한 모양이다.
피난
을 갔던 자신이 약간 부끄러웠지만 집을 다시 찾게 돼 기쁘다. 약간 건조한 환경에 산소도 풍부하고 악취도 없는 지대. 이곳이야말로 나 씨가 살만한 곳이다. 나 씨는 다시 집을 짓기 시작했다.인간의 세포는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포시에트와 인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태풍 등 기상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선박의
피난
처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또 라트니코프 씨는 여러 차례 수중 탐사에서 포시에트와 마주보고 있는 섬 북쪽 해안에서 토기 몇 점을 발견했는데, 고고학자가 이 토기를 발해시대 것이라고 판명했다는 것이다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공산주의 이론에 빠져 6.25사변이 터졌을 때 ‘마르크스의 군대’를 맞이하고자
피난
도 가지 않고 집에서 공산군을 기다린 일이 있다. 하지만 공산군이 집 세간을 털고 개를 몽땅 잡아먹고 도망가자 크게 실망하기도 했다. 관성을 거역하는 창조력1956년 독일로 유학을 떠나 뮌헨음대에 입학한 ... ...
갓 지은 쌀밥보다 맛난 것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혀에 착 감기는 기름진 밥과 구수한 누룽지를 만들어 내는 가마솥은 전쟁이 나서
피난
갈 때도 꼭 챙겨갈 만큼 모두에게 사랑을 받았습니다.하지만 현대에 와서 사회 구조가 소가족으로 바뀌고 밥을 짓기 쉬운 전기 밥솥 등이 나오면서 가마솥은 잊혀진 존재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제 어느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곳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공사 기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환기구나 긴급
피난
구 등의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어 일석이조다.한일터널 건설에 기술적인 문제가 전혀 없다면 해저 생태계 파괴의 문제는 어떨까. 신 박사는 한일터널은 해저 바닥을 파헤치는 방식이 아니라 해저 지하에서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역할을 한다. 실제로 조선시대의 악사들은 전쟁이 나면 편경을 우물에 숨겨 놓고
피난
을 갔다고 한다. 전란으로 악기들이 파괴돼도 돌로 만든 편경이 남아있으면 이로부터 여러 악기를 복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세종대왕 시대에 만든 편경은 오늘날 전해지지 않으며 현존하는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중에 벌어진 1·4후퇴 때 영등포역은
피난
기차를 타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철로변에는 8살짜리 한 사내아이가 깨진 바가지를 든 채 하염없이 울고 있었다. 가족과 함께 기차를 타러가다가 다른 사람을 쫓아가는 바람에 가족과 헤어졌던 것이다. 사내아이는 철로를 따라 안양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군집 이동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길이 5m의 오리주둥이공룡들이 떼를 지어
피난
길에 오른 것이다.용각류 역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용각류 발자국으로 생각되는 뒷발 길이 9cm의 것부터 가장 큰 1백15cm에 이르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덩치 큰 용각류 역시 자연의 재해에는 버틸 재간이 없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