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톱니"(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톱니바퀴들과 자석, 움직임 센서가 들어 있었어요. 장갑을 낀 채로 손가락을 움직이면 톱니바퀴가 돌아가고, 자석이 이를 따라 움직여요. 센서는 자석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감지해서 장갑을 낀 손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정교하게 파악한답니다. 그러면 가상현실에서 작은 크기의 물체를 집는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코끼리 똥으로 만든 종이, 사향고양이 커피 등이 그렇다. 저자는 대변의 순환과정을 통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는 세상을 관찰하라고 권한다. 대변은 자연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작은 부분일 뿐이지만 세상이라는 큰 그림의 일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책은 맨 마지막까지 대변에 대한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추가 기능이다. 기계식 시계는 계속 발전 중시계가 복잡해질수록 수학은 필수적이다. 톱니바퀴 대신 벨트가 시계를 돌리는 세계 최초의 벨트 구동 시계인 모나코 V4는 수학과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가이 세몬이 연구와 개발을 총괄했다. 개발팀은 시계의 수학 모형을 최적화하기 위해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먹을 수 있는 건 독특한 부리 덕분이에요. 부리 가장자리를 따라 ‘라멜라’라는 촘촘한 톱니 모양의 구조가 무수하게 많이 나 있거든요. 이 때문에 물은 빠져나가고 먹이만 걸러진답니다. 꼬마홍학은 라멜라가 매우 촘촘해서 0.5mm 미만의 생물도 걸러 먹을 수 있다고 해요. 이렇게 독특한 여과 ...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무려 30cm가 넘을 정도로 크고 날카롭지요. 또 악어의 주둥이처럼 생긴 턱에는 날카로운 톱니 모양의 이빨들이 나 있고, 튼튼한 앞다리를 갖고 있는 등 공격적인 육식공룡의 생김새를 자랑한답니다. 지난 1986년,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카리그 박사와 밀러 박사는 바리오닉스가 물고기를 잡아먹었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통해 들어온 공기는 점점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압축돼요. 압축부를 구성하는 톱니 모양의 블레이드가 이 과정을 도와 주지요. 블레이드는 공기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해요. 그 결과 공기는 넓은 공간으로 나오지 못하고 계속 좁은 공간을 향해서 가지요. 이때 뒤따라서 들어오는 공기가 앞서 ...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달린 엘리베이터를 세계 최초로 만든 거예요. 엘리베이터 줄이 끊어지면 철로 된 두 개의 톱니가 양쪽의 레일에 걸리면서 멈추는 원리지요. 이후 현대식 엘리베이터는 도시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았어요. 건물 높이가 1km를 넘는 초고층의 시대에 진입하게 됐고, 엘리베이터 또한 이에 맞춰 계속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산돼 버리거든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각각의 다리에 톱니를 설치했어요. 그 결과, 톱니가 맞물리면서 두 다리의 움직임이 서로 같아져서 안정적으로 점프를 할 수 있었답니다. 또한 거품벌레 로봇은 다리의 각도를 조절해서 점프 방향을 바꿀 수도 있었어요. 파리의 걸음걸이를 연구하는 로봇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자전거의 원리를 아는 사람은 평행사변형을 그린 뒤, 이 를 바탕으로 안장과 톱니바퀴와 체인등을 그려나가요.이처럼 원리를 알면 보지 않고도 그림을 그릴 수 있어요. 여기에서부터 디자인이 시작되지요.”자연의 아름다움을 배우는 건 미래의 자동차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새로운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보고 생각해냈지요. 배좀벌레조개는 몸을 보호해 줄 껍데기는 없지만, 톱니처럼 생긴 단단한 입이 있어서 나무를 쉽게 갉아낼 수 있어요. 나무판을 갉은 다음에는 몸에서 나온 분비물을 발라 다른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죠.TBM은 이 배좀벌레조개와 비슷하게 땅을 파나간답니다. 머리 부분의 원형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