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럼"(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전 트위터에서 의학칼럼니스트를 자칭하는 분이 올린 글을 읽었습니다. 상식에 어긋나는 내용이었지요.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서 팔로우를 하고 올라오는 글을 계속 보고 있습니다. 꾸준하게 상식과 어긋나는 글을 올리더군요. 작년에는 책도 출간했습니다. ‘병원에 가지 말아야 할 81가지 ... ...
- 낭만 프로그램 개발자 김국현프로그래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8호
- ‘만능맨’이었어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이자, 신문에 칼럼을 연재하는 IT칼럼리스트, 책을 쓰는 작가, 웹툰을 그리는 만화가까지…. 이 모든 것이 작가님의 직업이래요. 정말 대단하죠?저희 아빠가 작가님 만화를 정말 좋아해요. 직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잘 표현했다고 하시더라고요~ ... ...
- 동아리 활동으로 리더십, 학습, 봉사까지 OK!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저녁,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수시로 모였어요. 선생님이 과제를 많이 주셨어요. 수학 관련 칼럼이나 주제를 주시면 저희는 그것을 읽고 알아낸 것과 알고 싶은 것을 더 조사해서 쓰고 보고서를 만들었죠. 선생님이 과제를 내면 과제를 걷는 등의 관리는 제가 하거든요. 친구들에게 과제를 내라고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한복판에 구축되는 해중터널의 기본형은 텐션렉형이 될 것이다. 수심이 깊어 고정식 칼럼서포트는 어렵기 때문이다. 한상훈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텐션렉 방식 중에서도 해중터널 구조물을 양쪽에서 두 번 휘감아 한 지점의 텐션렉에서 총 4개의 앵커링(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을 ... ...
- 생물학의 대가, 에세이를 쓰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읽지 않는 인문학 전공 독자들까지 매혹시킬 만큼 뛰어나다(한 신문 논설위원은 몇 년 전 칼럼에서 ‘풀하우스’를 언급하며 “뿅간다”는 표현까지 썼다).그래서일까. 2002년 5월 굴드가 타계했을 때, ‘사이언스’는 또다른 글쓰기의 대가 리처드 포티 영국런던자연사박물관 수석고생물학자를 ... ...
- 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길어요. 2008년 6월 영국 배스대 건축토목공학과 마이클 배런 교수가 ‘네이처’에 실은 칼럼에서도 밝혔듯, 사람들은 음악을 들을 때 잔향시간이 긴 환경을 좋아하는 성향이 있어요. 현대적인 연주회장은 잔향시간이 2초 이상 되도록 설계하고 있죠. 0.8~1초 사이인 일반 강당 건물보다 두 배 이상 긴 ... ...
- 후쿠시마 방사능 공포 ‘진행 중'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월 14일자 온라인판에는 비록 대피 기준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긴 했지만 위험하지 않다는 칼럼이 실렸다. 제랄딘 토마스 영국 임페리얼대 의대 교수는 “머무른 시간이 중요한데, 특정 방사능 오염 지역(일명 ‘핫스팟)에 1년 내내 머무르는 사람은 없다”며 “사람들이 지나치게 민감해 하고 ...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발언들이 쏟아졌다. ‘와이어드’지 기자인 루카스 하우저는 ‘아이팟을 부수자’라는 칼럼에서 잡스를 혹독하게 비판했고, ‘IPOD’이라는 제품명에 빗대어 ‘나는 디스크를 갖는 게 더 좋아(I Prefer Owing Discs)’, ‘멍청이가 우리의 기기에 가격을 매겼다(Idiots Price Our Devices)’, ‘나는 다른 기기가 ...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미국 텍사스대 물리학과 교수는 2005년 ‘미국물리연구소저널(피직스 투데이)’에 쓴 칼럼에서 “코펜하겐 해석은 양자역학 속 관측이 어떤 결과를 내는지를 다루면서 관측자와 측정 행위 자체는 비양자역학적인 방식으로 다루고 있다”며 “파동함수는 결과론적인 설명”이라고 비판했다. ... ...
- 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확신이 들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왜 그럴까.미국의 저널리스트 말콤 글래드웰은 한 칼럼에서 ‘퍼즐’과 ‘미스터리’가 어떻게 다른지 소개했다. 정보가 부족해 조사와 취재를 통해 진실의 윤곽을 하나하나 끼워 맞춰 나가야 하는 것은 퍼즐이다. 미스터리는 반대다. 정보가 너무 많아 진실을 알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