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수사
추격
추구
찾기
검색
탐색
d라이브러리
"
추적
"(으)로 총 1,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리 은하의 팔이 가리키는 방향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따라 나선팔의 갯수가 달라진다. 가장 최근의 분석에 따르면 아주 고온인 별빛을 주로
추적
할 수 있는 자외선으로 관측하면 두 개의 뚜렷한 나선팔이 보인다. 반면 나이 많은 미지근한 별빛 위주로 볼 수 있는 적외선으로 관측하면 나머지 두 개의 나선팔도 보인다. 관측하는 빛의 종류에 따라 보이는 ...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핵심 기능은 여성 개개인의 월경을
추적
, 관찰하는 거예요. 월경을 더 정확히
추적
할 수 있는 알고리즘과 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결과를 전달하는 영역에 많이 집중하지요. 사실 월경 주기, 증상 등 모든 월경 경험이 사람마다 다 다를 수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개개인이 정보를 입력했을 때 ... ...
[논문탐독] 녹조라떼, 머신러닝이 해결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담수 퇴적물의 용출 영향 평가, 유기물 기원의
추적
, 머신러닝을 이용한 수질 예측 모델 구축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hs4969@sejong.ac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찍힐까. 과학동아 신입 기자 수린의 하루를 따라가며 디지털 탄소발자국의 흔적을
추적
했다. 첫 번째 탄소발자국은 데이터 센터에서 2023년 서울 용산 과학동아 사무실 앞. 수린은 첫 출근을 앞두고 심호흡을 크게 한 번 한 후, 사무실로 들어간다.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출근하게 된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부인은 이 사람의 법적 권한을 살려뒀어요. 아마 이유가 있을 거예요. 어쩌면 이곳으로
추적
해 올지 몰라요.”내가 본에게 피해를 끼쳤을까 두려워하며 조심스레 말했다. 본이 굳은 표정으로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말했다.“당신이 정미류의 집으로 간다는 걸 우리는 알고 있었어요. 괜찮아요.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연구팀 또한 해양 염분 패턴을 측정해 시간에 따라 물 순환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추적
했다. 그 결과 1970년~2014년에 적도에서 극지방으로 4만 6000~7만 7000km3 가량의 담수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기후 모델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담수가 극지방으로 밀려나며 물 순환이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2회 수혈할 계획이다. 적혈구에는
추적
염료가 부착돼 있어 체내에서 수명이 다할 때까지
추적
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2명에게 실제 수혈하는 양의 100분의 1 정도인 5~10ml를 먼저 수혈했으며 아직 별다른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적혈구를 대량 생산해 수혈할 수 있다면 겸상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스마트폰 카메라 수준의 장비만 있으면 빛을 내는 반딧불이 로봇의 위치를
추적
할 수 있죠. 연구팀은 “무너진 건물 같은 환경에서 구조 임무를 위해 반딧불이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이어 “로봇이 스스로 불을 끄고 켜면서 실제 반딧불이처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것을 막는 조치입니다. 저는 생물 보안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호주 토끼의 유전자를
추적
하는 DNA 탐정이 되어 이번 연구를 진행했지요. 그 결과, 호주 토끼가 토마스 오스틴이 태어난 지역의 토끼 유전자와 가장 유사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습니다. Q호주 사례를 통해 우리는 어떤 교훈을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야기는 ‘상식’이 되고 말았다. 이 오해는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우장춘의 일생을
추적
해 책으로 쓴 일본인 작가 쓰노다 후사코의 노력으로 바로잡혔다. 그렇다면 씨 없는 수박은 누가 만들었을까? 일본의 유전학자 기하라 히토시(1893~1986)다. 기하라가 평생 연구한 주제는 식물의 염색체로 그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