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체"(으)로 총 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2021년 12월 저명한 과학 학술지 표지를 내가 장식했어.표지에 나왔다는 건 그만큼 나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뜻이지!어떤 연구로 내가 실렸는지 바로 알려 줄게~. 나를 만든 곳은 알파고를 만든 회사로도 유명한 ‘딥마인드’야. 딥마인드는 2010년부터 AI를 개발해 인간의 지능을 구현하려고 ... ...
- [2022 필즈상 예측] 줄곧 탄탄대로 달려온 루마니아 출신 천재 수학자 기호 3. 아나 카라이아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2022년 세계수학자대회(ICM) 무대에 섭니다. 초청 강연자로 선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숄체 교수에 이어 같은 연구 분야에서 다시 한번 필즈상이 나올지 눈길이 쏠립니다. ※ 편집자 주2022년 7월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개막식에서 만 40세 미만의 젊은 수학자가 ... ...
- [특집] 막힌 부분을 뻥! 수학자 돕는 AI!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안녕~! 난 수학자의 연구를 돕는 인공지능(AI)이야. 딥마인드의 자랑 ‘알파고’ 형님의 동생이지. 난 수많은 자료에서 규칙을 발견해 ... 보려면?Intro. [특집] 막힌 부분을 뻥! 수학자 돕는 AI!Part1.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Part2.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 ...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주는 작은 역할만 할 겁니다. Q 현재는 어떤 연구를 하고 있나요? 최근 컴퓨터가 숄체 교수님의 증명처럼 매우 어려운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한 번 성공했지만, 아직 컴퓨터가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이 있습니다. 지금 제 연구의 많은 부분이 이것을 정리하는 데 집중돼 있어요. 일단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목성 사이인 2.5AU(천문단위, 1AU=태양~지구 거리)부터 나타난다. 이때부터 망원경에 뿌연 천체로 나타난다. 이때까지 혜성의 평균속도는 대략 초속 18km다. 만약 이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궤도에 있다면, 지구와 충돌하기까지 남은 시간은 대략 8개월에 불과하다. 헌데 혜성은 매초마다 속도가 ... ...
- [인터뷰] 평범함이 힘!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유명한 난제인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에도 p진수가 쓰이지요. 또 페터 숄체 독일 본대학교 교수가 p진수 기하학을 연구해 2018년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되었고요. 올해 7월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는데 현재 정수론에서 각광받는 연구인 만큼 p진수 기하 연구자 중에 수상자가 나올지 기대되네요 ...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음식과 은신처를 제공한다. 특히 아카시아의 소엽 끝에 달려 있는 양분 덩어리인 벨트체에는 개미가 다른 곳에서 얻을 수 없는 영양소가 듬뿍 들어 있고, 잎자루에서는 개미가 좋아하는 달콤한 꿀물이 나온다. 부풀어 오른 가시 안에 동굴처럼 마련된 은신처는 개미의 안전한 보금자리다.오늘날 ... ...
- [과학뉴스] ‘블랙 위도우’의 치명적인 독 구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드나들 수 있는 구멍을 뚫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막에 결합하기 전 사량체를 구성하는 모습도 밝혔다.세포막에 구멍이 뚫리면 칼슘이온이 세포 내로 유입되고, 그 결과 막대한 양의 신경전달물질이 나와 몸이 마비된다. 가트소지아니스 교수는 “라트로톡신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어떤 ...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차근차근하면 됩니다:-) #사례2. 2021년엔 공부한다. 진짜 공부할 거야.계획은 구체적인 것이 좋아요. 핵심은 ‘실천 가능하게 할 것’. 예컨대 ‘건강하기’는 실천 할 수 있는 계획이 아니죠. 당장 건강하기를 어떻게 실현해야 할지 질문했을 때 떠오르는 행동이 없으니까요. 그보단 ‘채소 많이 ... ...
- [가상 인터뷰] 누리호, 드디어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때문이야.원래 첫 우주 발사체 발사 도전이 바로 성공하기는 힘들어. 지금까지 우주 발사체를 만든 11개 나라 중 소련, 프랑스, 이스라엘 등 세 나라만 첫 발사에 성공했지. 잘됐구나! 앞으로는 어떻게 할 계획이야?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누리호 발사에서 모인 데이터를 정밀 분석해서 3단 엔진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