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색인
인덱스
목차
d라이브러리
"
찾아보기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여전히 ‘미제승냥이’나 ‘인민군 행진’과 같은 소재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북한 수학 교육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온 이정행 미국 나약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북한 수학 교과서에 나온 반미 내용을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가 북한이 현재 떠안은 숙제”라고 말했다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미국에서부터 바다 건너 한국을 찾아 왔어요. 휴머노이드 로봇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기상천외한 로봇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됐지요. 바로 절대 넘어지지 않는 풍선 로봇 ‘발루’와 멀티 이동 로봇 ‘알프레드’였어요. 그밖에도 펜싱선수처럼 걷는 로봇 ‘나비’,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개체가 다양하지 못해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진화적으로 고등한 생물일수록 처녀생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인간을 포함한 대다수의 포유류는 처녀생식을 하지 않지만,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는 있다. 주사로 제2난모세포(난자로 성숙하기 이전의 세포로 제2난모세포 상태로 정자와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홍역도 바이러스가 옮기는 병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천연두나 홍역에 걸리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을 개발한 덕분이다. 그렇다면 매 가을마다 맞는 독감 백신은 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정복하지 못했을까. 심지어 어떤 사람은 백신을 맞고도 독감에 걸리기도 하고, 어떤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흰 티셔츠를 예쁘게 염색해 보았지요.이어진 야간 곤충 탐사에서는 도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유지매미와 애매미의 *우화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었어요. 매미의 약충인 굼벵이들은 이제 막 땅속에서 나무로 기어 오르거나, 나뭇가지 곳곳에 붙어 탈피를 시작하고 있었어요.캠프에 참가한 구자성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그런데 2015년 고래연구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상괭이도 양쯔강 돌고래처럼 앞으로
찾아보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해요. 2005년 3만 6000여 마리였던 상괭이가 2011년 조사에서 약 70% 가까이 줄어든 걸로 나타났기 때문이랍니다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개조를 도와 주지 않을래?큰군함조 : 큰군함조의 비행 습관은 다른 바닷새들에게선
찾아보기
힘들어요. 이에 대해 연구팀은 큰군함조의 깃털이 방수가 아니기 때문에 물 위에 오랫동안 앉을 수 없어 비행 실력을 기른 것으로 추정했답니다. 보통 바닷새들은 물 위를 떠다니며 사냥을 하지만,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처럼 위대한 과학적 탐구가 인간 사고에만 기초해 성공적으로 이뤄진 다른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복잡한 우주를 궁극적으로 간결하고 우아한 법칙으로 해석하는 인간 정신의 놀라운 능력을 실컷 향유해보자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모든 사람들이 자지러지게 웃는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유럽인들에게서 이런 습성을
찾아보기
는 힘들다.”이 소장은 감정 표현에 부정적인 한국 문화에서 그 차이를 찾았다. “제 고향이 안동이거든요. 뿌리 깊은 유교 문화가 남아 있잖아요. 어른들이 크게 웃지 못하게 했어요. 체신머리 없다고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매우 친숙한 여름 철새예요. 그런데 최근 도시화로 인해 우리 주변에서 점점 제비를
찾아보기
가 힘들어요. 그래서 전 전국 단위로 제비 개체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해 보고 싶어요. 시민참여과학은 예전부터 제가 해 보고 싶었던 일이에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비 탐사를 하게 돼 정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