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물
축생
동물체
짐말
복마
금수
d라이브러리
"
짐승
"(으)로 총 238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돌 도구를 이용해 사냥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7월호 ‘아이 러브 고기’ 참조).털을 가진
짐승
은 주로 초저녁과 아침에 사냥을 합니다. 사자를 생각해 보세요. 숫사자의 멋진 갈기와 윤기가 흐르는 털이 떠오를 겁니다. 보기엔 폼나지만 이런 몸으로 대낮에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을까요. 모피를 ... ...
[에필로그] 변신+합체. 천사의 날개를 진화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혹시 천사 날개를 가질 수 있을까요. 하늘을 날고 싶어요.”“산해경에는 날개를 지닌
짐승
이 많이 나오지. 날고 싶은 욕망은 인류가 늘 가졌던 소망이야. 실제로 20세기 초에 유명한 진화생물학자 테오도르 도브잔스키가 ‘천사의 날개를 가진 인간을 진화시킬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 적이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가장 오래된 조상으로 알려졌던 하이라코테리움(Hyracotherium, ‘바위너구리를 닮은
짐승
’이란 뜻)은 1841년 영국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언이 처음 명명했다. 그 뒤 1876년 마쉬가 완전한 골격을 발견하고 새로운 이름인 에오히푸스(Eohippus, ‘초기 말’이란 뜻)를 제안했다. 하지만 국제명명규약에 따라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전투에선 치타나 표범을 압도할 정도로 싸움의 달인이고 영민하기로 치자면 당해낼
짐승
이 없다. 자연히 사자와 세력다툼이 빈번하다. 사자를 일대일로 싸워 이길 순 없지만, 무리를 키워 적은 수의 사자무리를 상대하면 승산이 있다. 이렇게 사자와 정면대결하는 동물은 하이에나가 유일하다.이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잡아 먹을 수 있게 됐습니다. 뛰어난 전략과 체력, 그리고 석기 덕분에 잡을 수 있는
짐승
수도 점점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그 많은 고기를 다 먹으려면 또 하나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초식에 길들여져 있는 몸은 기름진 음식을 소화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인류는 ‘아포지방단백질’이라는 ... ...
원시인은 식인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칼자국을 수집했습니다. 먼저 후기 구석기인들이 큰
짐승
을 잡아먹은 유적에서 나온
짐승
뼈의 칼자국을 모았습니다. 또 미국 인디언들의 골당(2차장을 치른 인골들을 모셔두는 곳)에서 발견된 인골의 칼자국을 모았습니다. 그런 뒤 이 자국을 크라피나 화석의 칼자국과 비교했습니다.결과는 ... ...
종교에서 과학으로 그림 속 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코끼리의 다리 사이에 있는 라틴어는 ‘여기에 그려진 사람의 크기를 보고 당신은 이
짐승
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뜻이랍니다.과학이 발전하던 르네상스 시대에는 동식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이 많이 선보였어요. 1400년대에 얀 반 에이크가 그린 의 ... ...
설렘과 슬픔이 공존하는 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시기다. 예를 들어 나무는 모든 잎과 열매를 떨어뜨리고 조용히 겨울을 견딘다. 곰 같은
짐승
은 아예 겨울잠을 잔다. 인간 역시 겨울이면 추위를 막기 위해 움직임을 최소로 줄인다. 에너지의 파동은 그만큼 줄어들고 자연도 웬만해선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다. 일종의 휴지기인 셈이다. 하지만 봄이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품에 끌어안은 채 잠이 들었다. 지오가 잠들자, 바람도잠들었다. 사납게 울어대던 산
짐승
소리도 거짓말처럼 멎었다. 모든 것이 잠든 세상에 달빛만 부시게쏟아지고 있었다.“지오야! 지오야! 어서 일어나.”따스한 손길이 지오의 몸을 흔들었다.“조금만…… 조금만 더 잘게.”지오는 반쯤 깨어버린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기도와 식도가 교차해 질식사의 위험이 있는 대신 발음이 다양해져요.우리는 그저
짐승
같은 괴성을 지르는 수준보다는 훨씬 정교한 발음을 했어요. 하지만 발음을 몇 개 할 수 있다고 그게 곧 언어가 되는 것은 아니지요. 문법을 이루거나, 최소한 단어를 나열해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하는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