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의"(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여기서 55b 영역이 언어 기능과 아주 밀접하다는 사실이 드러납니다. 대뇌피질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언어 기능과 관련성을 확인해보면 대략 구역의 기능을 구분지을 수 있죠. 그림 c와 d에서는 특정 영역과 연결된 정도를 보여줍니다. 55b 영역이 수초가 적은 PSL 영역과는 연계성이 높은 반면, 수초가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또한 기가 막힌 일이 될 듯 싶었다.박은 점점 제 모양을 갖추며 자라 났다. 이 모든 뻥튀기질의 상징이라도 되려는 것처럼 박은 아주 크게 잘 자라났다. 한국 농수산진흥청 표준 수확 시기 기준표에 맞을 정도로 박이 자라났을 때, 우리는 박을 타기로 했다. 선배와 나는 박을 타는 톱을 같이 들었다. ... ...
-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입사가 물거품이 된 사람이 있습니다.대체 어떤 사연일까요?지난 5월 16일 미국의 질의응답사이트 쿠오라에 마이크로소프트 면접 문제 하나가 올라왔습니다. 글을 쓴 인도 와갈라 기술연구소 컴퓨터학과 프래샨트 바그디아는 친구가 이 문제를 풀지 못해 애를 먹었다고 소개했습니다.얼핏 보기에 ... ...
- [참여] 이런 게 다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페이지랭크 계산법을 소개했다.끝나지 않은 이야기두 연구원의 재밌는 강연이 끝난 뒤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다. 수학을 공부를 하고 있는 강연자에 대한 궁금증부터 현재 고등학생으로 겪고 있는 문제까지 다양한 질문이 나왔다.1학년에 재학 중인 박성배 학생은 현재 수학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 ...
- [News & Issue] 헐크가 된 야구선수들, 지난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6kg 가까이 늘리며 ‘벌크업(bulk up)’을 이뤄낸 그는 호리호리한 발 빠른 대주자에서 근육질의 거포로 발돋움했다. 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야구는 게을러터진 스포츠? 중요한 건 슈퍼파월~미국 경제지 월스트리트저널은 2013년, 흥미로운 조사를 했다. 미국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구장에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같은 방법으로 똑같은 길이의 현을 그어 한 바퀴를 돌리면 어떤 모양이 될지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통해 예상해 본다. 학생들은 예상을 해 본 뒤에 각자 직접 같은 길이의 현을 한 바퀴 돌려 그어 어떤 도형이 생기는지 확인한다.2. 나만의 스트링아트 작품 만들기1단계 과정을 마친 뒤 학생들에게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수석연구원 등 10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했다. 평가는 발표 10분, 질의 응답 10분으로 이뤄졌으며, 창의성, 성과물의 완성도, 사업화 가능성, 기술이해도 등을 기준으로 심사했다.그 결과, 고등부에서는 자가발전 자전거 무인 대여 서비스를 개발한 서울 양천고 ‘런앤런’ 팀이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7배 분량의 지식을 이미 구축했고 현재 확장 중이다. 복합적으로 추론해 답을 내는 질의응답 기술도 검증을 완료했다. 관련 소프트웨어를 14개 기관에 배포했다. 의학 지식을 갖춘 ‘닥터 엑소브레인’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나누리병원에서 내년부터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닥터 엑소브레인은 한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순도 100% 영어강의였다. 교수 강의와 학생 발표는 물론이고, 수업 전 공지사항과 중간 질의응답, 농담도 모조리 영어였다. 갑작스런 질문에도 곧장 답변하는 학생들의 유창한 영어 실력이 놀라울 뿐이었다. 조 교수는 “학생들이 처음부터 영어를 잘 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학생들의 영어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한 방 먹일 수 있는 아주 근사한 투명 망토 말이야.빛을 모으거나, 흩어지게 하거나물질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해 투명 망토를 만들 수 있다면, 물질 하나로 굴절률을 조절해 투명 망토를 더 쉽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2014년 9월 미국 로체스터대 조셉 최 연구원은 렌즈를 이용해 ‘로체스터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