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서"(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를 역전시키는 게 가능할까?” 엔트로피는 흔히 무질서도라고 하기도 하며, 엔트로피가 늘어난다는 건 사용 가능한 에너지가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은 태양이 뜨겁기 때문에 우리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먼 훗날에 태양이 식고 주변의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을 뿐만 아니라 극과 적도가 나란히 있는 형태는 행성 형성 과정이 긴 시간을 두고 질서정연하게 이뤄졌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달도 천천히 형성됐을까? 기존의 핵 강착 이론에 따르면 지구는 수백 만~수천 만 년간 이뤄진 미행성의 충돌 결과로 탄생했다. 원시 지구는 약 45억 년 전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열에너지를 정밀하게 중화시켜야 한다. 이를테면 농도가 서로 다른 염산, 황산, 질산이 무질서하게 흐르고 있는 도랑에 다양한 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을 뿌려 한순간에 중화시키는 격이다. 그냥 엄청난 냉기로 몽땅 꽁꽁 얼려버리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핵폭풍이 형성돼 고온으로 ...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나타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규칙성 없이 1과 5 사이에 숫자들이 움직이고 있죠? 무질서한 선율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결국 1과 5 사이의 값 안에서 이런 불규칙함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있기에 이 또한 하나의 규칙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어떤가요? 여러분은 이 작품에서 재즈의 향기가 ... ...
- 프로젝트 밴드 닥터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고립된 계는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그는 “언젠가는 우주도 무질서해질 텐데, 주어진 오늘 하루를 열심히 살자는 내용”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전기를 주제로 한 ‘저항’이라는 곡도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안 교사는 닥터스뿐만 아니라 원래 소속 밴드인 ‘더 ... ...
- 휴양지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으킬 수 있다’라는 ‘나비효과’를 들어보셨나요? 이처럼 카오스 이론은 겉으로는 무질서해 보이지만, 그 안에 일정한 규칙이 있고 그 속의 작은 변화가 완전히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혼돈계’를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이런 혼돈계를 찰흙 덩어리로 설명할 수 있지요. 다양한 색이 섞인 찰흙 ... ...
- 질서┃모든 것의 시작 빅뱅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현재의 우주가 137억9900만 년(±2100만 년) 전에 발생한 대폭발로 탄생해 지금에 이르렀다는 빅뱅 우주론에 대해 학계에서 더 이상 이견이 없다. 물론 처음부터 빅뱅 우주론이 순조롭게 받아들여진 건 아니었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은 ‘허블의 법칙’으로 널리 인정됐지만, 그 시작이 한 점 ... ...
- 질서┃기본입자의 탄생과학동아 l2019년 07호
- ...
- 질서┃4가지 힘의 출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사실 양성자를 쪼개면 세 개의 쿼크 말고 또 하나 나오는 것이 있다. 바로 보손 입자 중 하나인 글루온(gluon)이다. 글루온은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쿼크 입자들을 풀칠(glue)하듯 묶는 힘을 내는 입자다. 우주를 지배하는 힘은 이런 특정 입자들이 매개하고 있고, 그 매개 입자들이 바로 기본입자 중 4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거대구조 우리는 우주 전체를 볼 수 없다. 그 이유를 138억 년 전에 지구를 향해 출발한 빛을 따라가며 알아보자.138억 년 전 우주가 아주 작았던 시절, 현재의 지구 위치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지점에서 지구를 향해 출발한 빛은 아무리 달려도 지구에 도달하지 못했다. 우주가 계속해서 팽창한 탓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