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찾아오는데, 강한 비바람을 동반하기 때문에 인명 피해도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태풍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때는 태풍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국, 우리나라, 일본 중 어디로 꺾일지가 중요하다. 태풍 예측은 기온, 바람 등을 관측하고 분석하는 날씨 예측과 크게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감염시킬 수 있는 개체(I), 면역력이 있고 건강한 상태에 있는 개체(R)다. 연구팀은 전염의 진행에 따라 세 가지 상태가 어떻게 순환하는지에 관심을 뒀다. SIR 모형에서 감염된 개체(I)는 υ의 감염률로 이웃한 건강한 개체(S)를 감염시키거나, δ의 회복률로 면역력을 가진 건강한 상태(R)가 된다. R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공식화한 것이다. 캐나다 경찰이었던 킴 로스모는 판에 박힌 경찰 수사의 느린 진행에 답답함을 느껴 다시 학교로 돌아가서 범죄자를 잡는 데 도움이 되는 수학적 방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1996년 로스모 공식을 개발했다. 로스모 전에도 수사에 수학을 활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주로 범죄자의 ...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4호
- 8,42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나를 행복하게 만든 것은 뭘까?(What makes me happy?)’를 진행했다. 이 게임은 첫 번째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었다. 이때 연구팀은 이들이 게임 결과에 따라 느낄 행복감을 미리 행복 방정식에 대입해 예측했다. 그리고 첫 번째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금 ...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생방법)’을 만드는 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2009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한 정책 과제 연구를 바탕으로, 법이 제정된 것이 2011년, 시행된 게 2012년입니다. 국회에서 무려 4년 동안이나 법안이 표류하는 것을 지켜봐야 했죠. 과학자 출신 국회의원이 한 명이라도 있었다면 이 법이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STEPI) 혁신시스템연구본부장은 “한국은 연구 평가 단계가 촘촘하게 짜여있고 자주 진행돼서, 연구자들이 오히려 연구에 집중하기 힘들어 한다”는 이야기를 남겼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한국은 과제가 뽑히긴 쉽지만, 평가 단계가 어렵습니다. 처음에 목표로 한 성과를 달성하도록 수많은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우주의 그대에게 보내는 우리의 메시지 최근 몇 년간 저는 ‘METI’란 분야에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SETI嘄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에 비해 METI는 다소 생소하실 듯합니다. SETI가 우주로부터의 전자기 신호들에서 외계지성체의 흔적을 찾는 전파천문학의 분야라면,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게임을 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처 음부터 시작하지 않아도 돼요. 체크포인트 지점에서 이어서 게임을 다시 진행할 수 있죠. 게임에 접속했다면, 우선 키보드에서 ESC를 눌러 주세요. 그러면 회원, 설정, 신고, 도움말, 녹화 메뉴가 나와요. 여기서 설정을 클릭하면 다양한 게임 설 정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메뉴인 ‘Shift Lock 전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토드 뉴질랜드 오타고대 해부학과 연구원과 미국, 호주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함께 진행한 연구입니다. doi: 10.1126/sciadv.aaw7006블루헤드놀래기는 카리브해의 산호초에서 무리 지어 사는 물고기입니다. 블루헤드놀래기의 사회는 대장 수컷 한 마리와 나머지 암컷 물고기 여러 마리로 구성됩니다. 대장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1년 건설이 시작됐다. SKA mid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현장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우주 속 시계가 될1000개의 펄사 2030년 완성될 SKA는 우리은하 내 약 1만 개 이상의 모든 펄사와, 그중 정확한 시계 역할을 할 수 있는 1000개 이상의 밀리초 펄사를 관측할 수 있다. 이는 어떤 의미일까?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