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전"(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2018 지사탐 사진전 자연덕후들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사진을 잘 찍을 수 있는 특급 비결을 하나 알려드릴까요? 바로 ‘사랑하는 것을 찍는 것’이랍니다. 남들은 쉽게 볼 수 없는 특별한 매력을 사진에 담아낼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이른바 ‘덕후’들의 손에선 전문 사진작가 못지않은 멋진 사진 작품이 탄생해요. 의 대표 자연 ... ...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학과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오랫동안 해결의 실마리조차 없던 골드펠드 추측에 큰 진전을 보였다”면서, “다음은 BSD 추측 없이 증명하는 게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최근에는 암 치료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문제에서도 진전을 보이고 있다. 김종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암세포가 항암제 내성을 갖는 세부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면 표적항암제의 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이미 자명하지 않은 해 중 약 41%의 실수 부분이 1/2 이라는 게 알려져 있지만, 더 이상 진전은 없고 실수 부분이 특정 영역 안에 속해있다는 걸 밝히는 ‘준리만 가설’을 푸는 것마저 무척 어렵습 니다. 준리만 가설은 자명하지 않은 해의 실수 부분이 0<a<1 같은 구간 안에 있다고 생각하고, 이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침엔 보드라운 식빵, 점심엔 든든한 샌드위치, 저녁엔 맥주와 함께 피자 한 조각.삼시세끼를 빵으로 해결하는 ‘빵순이’들의 귀가 번쩍 뜨일 소식이 나 ... 큰 밀의 지도가 완성된 만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벼나 보리에 대한 연구도 더욱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4년 12월 발사된 일본의 소형 탐사선 ‘하야부사2’가 32억km를 여행한 끝에 지난 6월 소행성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지구에서 약 3억km 떨어져 있다. 하야부사2는 류구 주변을 돌다가 류구 표면에 소행성 탐사 로버 2대를 내려보내 무사히 착륙 시켰다. 인간이 만든 탐사선이 소행성 표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추측이다. 현재 증명도 반증도 되지 않았지만, 장의 논문이 나온 이후 연구에 급격한 진전을 이룬다. 장은 차이가 7000만 이하 소수 쌍이 무한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는데, 이후 여러 수학자가 장의 방법을 이용해 소수 쌍의 차이를 줄이기 시작했다. 그 결과 현재 소수 쌍의 차이를 246까지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데 성공하거나, 아니면 재현되지 않음을 직접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암흑물질 연구에 큰 진전을 이루게 된다. 김 단장은 “지하실험연구단뿐만 아니라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연구단, 순수물리 이론연구단 등이 생기면서 국내의 실험 규모나 연구자들의 ‘맨파워’가 비약적으로 커졌다”며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프로그램이 등장한 뒤 약 50여 년 동안 아직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놀라울 정도로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 이전의 방법으로는 불가능 했던 정수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쓰이고 있습니다. 와일즈의 페르마 마지막 정리의 증명, 타원 곡선에 대한 사토-테이트 가설의 증명이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않아 필즈상 수상에 회의적인 입장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2017년에는 오랫동안 진전이 없었던 그로텐디크의 표준 가설에 관한 연구를 발표해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워낙 어려운 분야를 연구해서 그런지 최근에는 연구 속도가 더디지만, 그간의 공만큼은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편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