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앙대학"(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운석이 아니라 빗방울이 펀치볼을 만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한반도의 정중앙, 강원도 양구군을 들어본 적 있나요? 이곳은 대부분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이지만, 유독 한 지역은 마치 크레이터처럼 가운데가 푹 꺼진 지형을 가지고 있어요. 한국을 찾았다 이 모습을 본 미국 기자는 파티용 음료인 ‘펀치’를 담는 그릇을 닮았다고 ‘펀치볼’이라는 ... ...
- [특집] 암호학이 쌓아 올린 신개념 머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바일 캐시부터 지방자치단체에서 만든 지역 화폐까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화폐가 등장했다. 그중 비트코인처럼 암호학을 바탕으로 개발된 암호화폐가 디지털 금융의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다. 바로 이때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디지털 금융 세계를 평정할 새로운 암호화폐를 연구하기 시작했 ... ...
- [특집] CBDC가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조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디지털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실물화폐의 사용량이 급격히 줄고 있다. 디지털화폐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가운데 실물화폐를 대체하기 위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꼭 갖춰야 할 조건을 모아봤다. 영지식증명으로 개인정보 노출을 막아라! 금융거래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의 가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바일 쿠폰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디지털화폐에 이어,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암호화폐까지 등장해 금융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각국은 법정화폐*와 통용되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톍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화폐, 암호화폐 그리고 CBDC 그 차이점은? 파운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미국 전기차 생산업체 테슬라부터 국내 최대 게임 기업 중 하나인 넥슨까지. 최근 국내외 유수 기업들이 거액의 자금을 넣은 곳이 있다. 가상자산(암호화폐)이다. 암호화폐는 기업의 중요 투자처이자 미래 화폐 후보로 주목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 작품의 원본성을 보장하는 용도 등 다양한 분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휴~! 힘들긴 해도 저기 벌써 사탕이 보여! 그런데 내가 망원경으로 살펴봤는데, 대장이 가려는 길보다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는 길이 있더라고? 얼른 대장한테 말해줘야겠어! 개미는 빛과 비슷하게 이동합니다. 빛은 항상 ‘시간이 가장 적게 걸리는 경로’를 택해 움직이는데, 개미도 목표물까지 ...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사는 곳과 피부색이 달라도 인류는 모두 같은 조상에서 나온 같은 존재입니다. 인류의 보편적 진화 과정을 보면 그렇습니다. 국내에서는 이런 부분에 관심이 적은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준비 중인 ‘호모 사피엔스: 진화∞관계&미래?’ 특별전(5월 개막 예정)을 통해 시민들이 이런 사실을 깊이 ... ...
- [특집] 과학법정 열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가천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임소연(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손승우(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교수),민세희(서강대학교 아트앤테크놀로지과 교수),김한택(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펄스나인 ★ 참고자료 ... ...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4월 21일은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기념하는 ‘과학의 날’이에요. 또 이날이 속한 4월을 ‘과학의 달’이라고 부르죠. 이런 특별한 달에 수학동아가 가만있을 수 없죠!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을 이끄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님을 만나 과학과 수학이 얼마나 가까운 ‘단짝친구’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만든 창작물만 법적 보호를 받던 현행법을 뒤집는 첫 판단이라 모두 깜짝 놀랐어요.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손승우 교수는 “인공지능 관련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중국 법원이 창작의 주체를 넓게 해석한 경우”라며, “개발사의 노력을 보호하기 위해 인공지능 창작물을 인정한 것”이라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