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제"(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실패연구소에서는 지난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주제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프로그램은 제약공학자 외에도 화학공학자, 의학자, 생명공학자 등 다양한 진로를 주제로 수업이 마련돼 있다. 그 외에 PCR 장비를 이용해 DNA를 증폭해보거나,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우유 속 단백질의 양을 측정해보는 실험 등 다양한 심화수업이 있다. DNA 전기영동 실험을 기기 없이도 해볼 수 있는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합니다. 이 드넓은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과연 우리 하나 뿐일까요. 이번 달 독자기고 주제는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선 과학을 좋아하는 편집부와 독자들이 매일 과학 이야기를 실컷 나누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를 소개하는 글도 자주 올라오죠. 10월 ... ...
- [전지적 독자시점]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하지만, 우리는 아직 실패에 익숙하지 않잖아요”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2월호 보고싶은 기사 투표에서 많은 분들이 ‘KAIST 망한 과제 자랑대회’를 골라주셨습니다. 기자들도 마찬가지였어요. 다들 되새길만한 실패의 씁쓸한 추억 하나씩은 품고 있 ... 똥, 오줌, 털 등을 전문으로 발제하는 기자가 있는데요. 이번 털 발제는 과연 누가 가지고 온 주제였을까요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스마트 변기의 궁극적 목표”라 말했다. 대소변은 이그노벨상이 특히 사랑하는 연구 주제다. 2005년 펭귄 똥 연구가 이그노벨상 유체역학상을 수상했고, 2015년엔 포유류 오줌 연구가, 2019년엔 웜뱃의 똥 연구가 각각 이그노벨상 물리학상을 받았다. (10) 코로나19 종식에 기여한 mRNA 백신, 노벨상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용하면 산성 용액에 내성을 갖는 코팅 기술을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새로운 연구 주제를 떠올렸다. 그리고 그 연구 중 더 두껍고 뻣뻣한 음모라면 산성 용액에 더 강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다소 민망한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 지대한 관심, 그러나 연구는 미진한 음모의 과학음모가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날인 11월 3일, KAIST 학술문화관에선 ‘실패세미나: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루는 방법’이란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됐습니다. 리사 손 미국 컬럼비아대 버나드 컬리지 심리학과 교수와 김수안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가 강연을 맡았죠. 150석 남짓한 강의실에 KAIST 구성원이 빼곡히 앉았습니다. 김 교수는 ... ...
-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Part1. 경제 불안정, 민주주의 위기 같은 주제를 수학자가 생각보다 많이 연구해요!Part2. 1차 프로젝트 엿보기Part3. “편향된 수학사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전파하고 싶어요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한자리에 모입니다. 또 다양한 사람이 논의할 수 있도록 민주주의에서 수학의 중요성을 주제로 대중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 또는 공개 강연도 열 예정이에요. 언어 기반으로 수학사 탐구고대 및 중세 수학사 여름학교카린 셰믈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 연구책임자 수학사를 연구할 때 가장 큰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징 모형은 물리학과 수학에서 모두 연구하는데 최근 확률론에서 인기가 많은 주제예요. 저는 이징 모형에서 입자가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연구를 했어요. 이때 작성한 논문은 아직 출판되진 않았지만, 학회지에 제출해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