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주자
거주민
시민
국민
레지던트
정주자
공민
d라이브러리
"
주민
"(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5화. 혜성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체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처한 무럭무럭 행성을 구하기 위해 출동한다. 수천 년 동안 한자리에서 살아가는 나무
주민
들을 지킬 방법은 혜성에 폭탄을 설치하는 것뿐인데…. 해롱 호의 문이 열리자 쉭- 하며 공기가 빠져나갔습니다. 우주복을 입은 딱지는 그 공기와 함께 우주선 밖으로 나섰습니다. 그리고 제트 분사기를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 3만 회채널명 : 이오 IO (구독자 수 : 19만 명)제주도는 옛적부터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게
주민
들의 골칫거리였어요. 거센 바람을 막기 위해 만든 돌담이 제주 마을의 상징이 될 정도였지요. 이처럼 애물단지였던 바람도 요즘엔 쓸모가 생겼어요. 제주도에 풍력발전기를 세워 바람을 재생에너지원으로 ... ...
[생태관광] 지역
주민
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디렉터 및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지역
주민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지원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1 안산 대부도·대송습지2 서산 천수만3 서천 금강하구와 유부도4 정읍 월영습지와 솔티숲5 고창 고인돌·운곡습지6 무등산 평촌 명품마을7 신안 영산도 ... ...
[화보] 달리고 뿌리면 자란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노지재배가 가능하면서도 땅을 파고 심을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황 대표는 “마을
주민
들이 오가는 고사리 밭 인근에 씨앗을 뿌려 접근성을 높였다”며 “새로운 농가 소득원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이날 행사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현지 업체도 참여했다. 안동 ... ...
[이달의 과학사]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4호기, 폭발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방사성 수치가 검출되며 원전 사고가 드러났습니다. 소련 정부는 원전 반경 30km 내의
주민
을 피난시켰습니다. 이와 함께 방사능으로 오염된 곳을 정화하고 더 이상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4호기에 콘크리트를 덮는 공사를 시작합니다.원전을 덮는 작업은 1986년 10월에 완료되었지만 피해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날아가겠는데?”“그러면 아까 만난 나무들이 모두 죽는 건가요?”“그렇지. 수천만
주민
이 죽는 거야.”딱지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반드시 혜성 충돌을 막아야겠다고 굳게 결심했습니다.“루띠,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죠?”“야, 네가 선장이냐? 루띠, 보고해 봐!”해롱 선장이 딱지에게 면박을 ... ...
[기획] 지구를 살릴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농민은 농사 지을 땅을 잃게 돼요. 또 재생에너지 설비 건설로 마을의 모습이 바뀌어
주민
간의 마찰이 생기기도 하고요. 전기를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면 전력을 저장할 ‘에너지저장기술(ESS)’이 필요하지만 설치와 운용 비용이 너무 비싸죠.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국민들의 이해와 ... ...
[기획] 원자력과 LNG가 친환경? 논란의 택소노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체르노빌,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피해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변에 사는
주민
들의 건강뿐 아니라 자연에도 큰 영향을 주었죠. 또 원자력 발전 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방사성 피해물질은 처리 방안마련이 쉽지 않아요. 이런 이유로 저는 원자력 대신 다른 에너지원을 대체 에너지로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dienbienphuense)다.이 새우는 매년 우기마다 강에서 나와 산으로 올라가는 습성이 있다. 지역
주민
들은 새우가 신을 숭배하기 위해 산 정상으로 향하는 것이라며 축제를 벌인다. 그러나 관광객들이 몰리면서 새우는 멸종의 위협을 받고 있다. 홍잠라실릅은 “새우의 멸종은 단순히 종 하나가 사라지는 ... ...
[기획] 시대에 휘둘린 ‘정치적 에너지’의 흥망성쇠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변했다는 응답은 전체의 38.9%. 원전 인근 지역에서 지진을 체감한 부산·울산·경남 지역
주민
은 그 비율은 74.1%로 높았다. 원전 증설에 부정적(원전 수 현 수준 유지)인 국민은 전체의 61.3%였다. 2016년 국민 61.3% ‘원전 증설 부정적’ 이런 상황 속에서 2017년, 19대 대선이 치러졌다. 당시 문재인,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