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졸업"(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보통은 4~5년 걸리는 박사 연구를 절반도 안 되는 기간에 벼락치기로 하다 보니, 대학원을 졸업한 무렵엔 내 안의 동기를 찾긴커녕 논문 연구에 학을 떼는 지경이 됐다. 내 안의 동기를 찾고자 했던 질문들은 외면한 채, 단지 논문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이유만으로 회사에 입사해 주어진 업무에 ... ...
- OUTRO. 위험 인식의 정치성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위기로 이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필자소개. 홍성욱. 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과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크로스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진행됐다. 현재와 미래의 과학자가 나눈 이야기를 살짝 공개한다. Q. 서울대를 졸업하시고, 미국 조지아대에서 핵융합 연구를 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유학생활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면 무엇이었나요? 내 이력을 다 알고 있네요? 보안에 민감한 핵융합 연구의 특성상, 외국인은 연구에 접근하기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의과학연구센터 교수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와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을 졸업 후, 5년간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임상 수련을 받고 전문의가 됐어요. 레지던트 시절 아무리 노력해도 치료 방법이나 약이 없어서 중증 암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봤어요. 이때 의학 지식의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중요한 역량은 비판적 사고 크래프톤에 입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기쁨 박사 졸업을 앞둔 2020년에 크래프톤에서 가상 인간을 개발하기 위해 팀을 짜고 있었어요. 이때 지인의 추천을 받아 입사했어요. 신기술의 선두에 서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점이 끌렸어요. 수학에는 자신이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준을 보여주는 사례로 ‘원철별’ 이야기를 들 수 있다. 이원철은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유학해, 1926년 미시건대 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인 최초의 이학박사가 됐다. 그의 박사 학위논문 주제는 독수리자리 에타(η)별이 밝기가 변하는 이유에 대한 고찰이었다.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유럽에서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인 프랑스 파리대학교나 영국 옥스포드대학교의 학생은 졸업을 위해서 을 반드시 공부했어야 할 만큼 서구에서는 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강조했습니다. 두 번째 질문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인문학자 : 에서 시작한 유클리드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시작과 발전을 살펴봤다. 닭이 먼저, 달걀이 먼저? 언어가 먼저! “KAIST 전산학부를 졸업하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몇 개나 배우나요?” 기자의 질문에 류석영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8개 정도”라고 대답했다. 첫 해에 Python(파이썬), 두 번째 해엔 Java(자바)와 C를, 이후 Rust(러스트), Scala(스칼라), OCaml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감사드립니다. 한승전 1990년 부산대 무기재료공학과, 1997년 KAIST 재료공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부터 한국재료연구원에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수학동아 l2023년 05호
- PDE 연구에 끼친 영향이 대단하다고 평가한 건데요. 놀랍게도 카파렐리 교수는 PDE를 박사 졸업 후 알게 됐고, ‘독학’했다고 합니다. 아르헨티나 출신인 카파렐리 교수는 모국에서 박사과정까지 밟았습니다. 함수를 연구하는 해석학을 전공한 그는 1973년 미국으로 건너와 미네소타대학교에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