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담긴 겁니다. 그리고 120~250km 깊이에서 만들어지는 다이아몬드에 지구 표면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은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던 35억 년 전 지구엔 이미 판 구조론이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됩니다. 보통 다이아몬드의 불순물은 보석의 가치를 떨어뜨리지만, 과학 연구에선 다릅니다.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발급되는 디지털 식별번호죠. 즉, 논문이 아닌 실물이나 디지털로 존재하는 모든 콘텐츠에 DOI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학술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DOI DOI는 1996년, 미국출판협회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안한 시스템입니다. 출판물의 경우 국제적으로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 있는 무언가라고 생각해요. 백 명의 사람이 있으면 각자가 생각하는 백 개의 수학이 존재하는 것처럼요. 인문학자 : 그럼 수학이 아닌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수학자 : 수학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어렵다면 수학이 아닌 것부터 하나씩 빼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수학의 경계를 생각해볼 수 있어요. ... ...
- 맞춤형 생성AI 만들기 - 위대한 이론물리학자, 아인슈타인 챗봇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해 내가 제시한 해결책은 ‘광양자’ 개념이었소. 나는 빛이 연속적인 파동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산적인 에너지 덩어리인 ‘광양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설을 세웠소. 이 가설은 빛(광양자)이 특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에너지가 금속의 전자를 방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실외 이동로봇은 변화무쌍한 환경을 시시각각 인식해야 합니다. 정해진 위치에 사물들이 존재하고 길도 반듯한 실내 환경과 달리, 실외에서는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부터 보도블록의 턱, 움직이는 사람들, 눈비가 내리는 날씨까지 다양한 상황이 펼쳐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외 이동로봇을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온의 구조에 따라 생성되는 파편 이온이 다르기 때문에, 시료에 두 물질 중 무엇이 존재하는지 바로 알 수 있죠. 그러면 분자식이 C6H13NO2인 류신과 여기서 수소 원소 하나가 수소 동위원소 D(또는 2H)로 치환된 류신 C6H12DNO2는 어떻게 측정될까요? 이 두 물질도 구조가 같아서 질량분석법에선 m/z 값이 ...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각형 안에 어떤 두 점을 선택해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사각형 안에만 존재하면 우리가 아는 사각형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볼록 사각형’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목 사각형’이라고 한다. 클라인이 제기한 문제와 그 해법 1932년 클라인은 적어도 점을 5개 찍어야 볼록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활용했어요. Q. 인간인 ‘선’과 기계도 75%인 사이보그 ‘미아’라는 서로 전혀 다른 존재가 주인공이라는 점이 특별해보여요. 저는 결핍이 있는 등장인물들이 서로의 결핍을 퍼즐처럼 싹 맞춰주는 것을 좋아해요. 소설에서 선은 사회적으로 보기에 결핍이 있는 아이이고, 미아는 겉으로는 문제가 ...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무엇인가요? 날씨는 예보에 대한 답안지가 바로 다음 날이면 나옵니다. 예보관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날씨 현상(우박, 집중호우, 소나기 등)을 찾아내고, 어떻게 현상이 형성될지 정확하게 해석해야 해서 심적 부담감이 커요. 예를 들면, 레이더 관측에서 에코●가 작은 점 하나였는데, 1~2시간 만에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1980년대 지진파 탐사로 발견됐는데, 아프리카와 태평양 지하에 각각 한 덩어리가 존재한다. 너비 3000km, 높이는 최대 1000km까지 뻗어있을 정도로 거대한 구조다. 이 LLVPs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2023년 11월 1일, 첸 위안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LLVPs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