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반대"(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심한 곳이 대표적이다. 매표소 바깥에 마이크를 설치해 소음을 녹음한 뒤 이 소음과 정반대의 파형을 만들어 매표소 창구 안 스피커로 쏜다. 그러면 매표소 창구 직원이 고객의 목소리만 깨끗하게 들을 수 있다. 실제 미국과 멕시코 국경지대에서는 미 정부가 국경검문소에서 신원을 확인하기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파동이 만나면 간섭이 생겨 증폭되거나 상쇄됩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소음과 위상이 정반대인 파동을 생성시켜 소음 파동이 없는 것처럼 상쇄시키는 기술입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1kHz 이하의 소음에서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어폰과 헤드폰에 탑재된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를 일러스트와 함께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doi: 10.1126/science.aaz9771이 지도에 따르면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땅 위에 사는 동물과 정반대로 나타났다. 육상 동물의 경우 대개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높고,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멀어질수록 종 다양성이 줄어든다. 반면 지렁이는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낮았다. 종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doi: 10.1126/science.aaz9771이 지도에 따르면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땅 위에 사는 동물과 정반대로 나타났다. 육상 동물의 경우 대개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높고,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멀어질수록 종 다양성이 줄어든다. 반면 지렁이는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낮았다. 종 ... ...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전혀 모른다는 의미에서 암흑(dark)이라는 단어가 공통적으로 쓰일 뿐, 우주에서는 정반대의 작용을 한다. 암흑물질은 우리가 아는 보통의 물질처럼 중력을 갖고 있어서 물질 간에 서로 끌어당긴다. 반대로 암흑에너지는 척력을 통해 물질들을 밀어낸다. 과학자들은 우주가 팽창할지 수축할지는 이 ... ...
- 음악 들으며 공부하면 창의력 떨어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부나 작업을 하면 분위기가 부드러워지고 능률이 향상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와는 정반대의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엠마 스레드골드 영국 센트럴랭커셔대 심리학부 연구원팀은 19~56세 남녀를 세 그룹으로 나눠 ‘복합원격연상검사(CRATs)’라는 언어 창의력 검사를 ... ...
- [실전! 반려동물] 해피가 저를 떠나려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식욕이 갑자기 많아지고 밥 먹는 속도가 빨라지지요. 한편 똑같은 치매이지만 이와 정반대의 증상을 보이는 반려견도 있어요. 하루종일 무기력하고, 자극에 반응하지 않으며 식욕이 감소하지요.사람과 마찬가지로 치매를 완치하는 방법은 없어요. 단 초기라면 약물의 도움으로 진행 속도를 늦출 순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토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에 사용되는 연료전지에서는 물 분해반응과 정반대의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면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물과 함께 열과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이때 산화환원반응을 촉진시켜 줄 촉매가 반드시 필요하다. 촉매의 성능에 따라 시간당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음식 탓, 안면부는 작아져 두개부는 진화 과정에서 점점 커졌지만, 안면부는 정반대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도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음식의 변화다. 다니엘 리버만 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학과 교수는 음식의 종류와 요리법에 의해 씹는 횟수가 줄었고, 그로 인해 턱의 근육과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이영애 교수: 물리, 화학, 또는 전자공학을 공부하지 않았을까요? 아니면, 정반대로 시인이나 작가가 되고 싶기도 해요. 김미란 교수: 저는 학창 시절에 역사를 좋아했기 때문에 역사학자 아니면 역사 교사가 됐을 것 같습니다. 지금과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있었겠지요. Q. 마지막으로 앞으로 어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