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양성자 질량의 기원 밝혀졌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훨씬 작은 물질이 양성자 중심부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현재 연구팀은 이 물질을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실험을 제안한 상태다. 제인에딘 메지아니 아르곤국립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매우 흥분되는 실험결과”라며 “새 발견이 추가 실험으로 더 구체화되면 양성자에 대해 훨씬 많은 정보를 ... ...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특히 BCP로 만든 나노 구조는 5nm 수준이다. 이는 5억 분의 1m 크기로 얇은 회로를 새길 만큼 정밀한 구조다. BCP는 재료 원가도 저렴해 기존 반도체 공정 설비와 비교해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다. 그렇지만 BCP는 쉽게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BCP로 나노 구조를 만들면 패턴이 무질서해지기 때문이다. ... ...
- 전 세계가 함께 추적한다! 우주 쓰레기 감시시스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우주위험연구실 유지웅 선임연구원은 “우주물체에 레이저를 쏴 돌아오는 빛으로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추적시스템을 설치했고, 지금은 낮에도 우주물체를 관측할 수 있는 레이더 장비를 개발 중”이라며, “감시장비가 북반구에 몰려 있기 때문에 남반구의 호주에도 광학 감시장비를 설치할 ... ...
- 내가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확률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추락 지점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요. 지금의 기술로는 고도 120km 정도까지 정밀한 관측이 가능합니다. 이후 우주물체는 고도 약 78km에서 분해되기 시작해 30분 내로 지상에 떨어져요. 이때 물체가 떨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물체의 재료와 모양, 기상 조건 등 수많은 변수에 따라 최대 폭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좋은 질문이네요.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수백 조 자리까지 필요한 경우는 별로 없어요. 정밀한 계산에서도 약 40~50자리 정도가 충분하다고 알려졌지요. 원주율 계산은 어디까지나 과정과 도전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에 정말 조그만한 오류라도 생기면 끝까지 계산할 수 없어요. ...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봉입 핵융합 방식에서 점화를 하기 위해서는 단열 곡선, 빠른 속도, 연료 혼합 및 모양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합니다. 단열 곡선은 열핵 점화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 함수로, 캡슐을 폭발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또 핵융합 연소 중에 연료를 함께 고정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려면 빠른 ...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정교한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다채로운 기분을 가진 입자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정밀한 STM 관측에 몰두하는 이유는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큐비트가 나아가야 할 길을 짚는 연구 또한 이뤄지고 있다. 장원준 연구기술원은 ... ...
-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때 별자리로부터 유래됐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기원 전후 고구려 때부터 우리나라가 매우 정밀한 별 지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뜻이지요. 당시 한반도는 전 세계 기준 가장 이른 시기에 국가 천문대를 지녔던 거예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또 다른 특징은 별의 밝기를 점의 크기로 표시한 거예요. 이는 ... ...
- [기획] 발자국에서 단서를 찾아라! 발자국 분석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방위를 표시하지요. 이후 발자국의 모양대로 발자국 지도를 그리고, 3D 디지털 데이터로 정밀 기록도 남깁니다. 그러면 자연적인 풍화나 침식으로 화석이 사라지더라도 원형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게 되지요.보행렬에서 발자국 화석의 ‘모양’은 발자국의 주인을 찾는 단서가 돼요. 공룡인지, ...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분석하고 인류 처음으로 일식을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또한 오랜 기간 정밀한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지구의 세차운동을 발견했어요. 16~18세기에 이르도록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천문학자들의 지침서가 된 에는 1000개가 넘는 별들의 좌표가 기록돼 있는데, 대부분 히파르코스의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