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난"(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기후 재난을 피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10년 전 심은 나무가 성장해 도시의 기온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요. 이상권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열분포도가 도시의 열을 줄이는 도시 설계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답니다 ... ...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2~3바퀴 정도 돌면서 영상 정보를 만들고 있어요. 컨텍은 이 정보를 받아 도시의 변화, 재난 재해 상황을 파악하는 등 정보를 분석하고 있답니다.이어 이성희 대표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며 많은 우주 스타트업이 생기고 있다”며, “미국 최대의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는 2040년 우주산업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던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앞으로도 지구에 일어나는 여러 기후 재난을 해결할 방법을 찾아볼게요! 김다윤(위례한빛중학교) 2021 제7회 별빛미션 금성에서의 1박 2일은? 금성을 탐험하기 전 과학자들은 금성이 지구와 가까우면서도 크기가 비슷해 외계인이 살 수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동물에게 배운 지혜 사막개미를 닮은 로봇, 앤트봇!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막개미를 닮게 만든 로봇이 있대. 우리의 특별한 길 찾기 능력을 보고 만든 로봇이래. 생긴 것도 개미처럼 생겼을까? 우리처럼 정말 길 찾 ... 기술로 만들었는데도 놀라운 성능을 가지고 있지요. 앤트봇은 GPS를 사용할 수 없는 재난 현장이나 우주 탐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거라고 해요 ...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VP가 활용된 첫 작품은 디즈니플러스에서 개봉한 ‘만달로리안’이다. VP는 SF 장르나 재난 영화 등 주변 상황이 일반적이지 않을 때 더 큰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도 우주에 홀로 남겨진 우주인을 구하기 위한 여정을 담은 SF 영화 ‘더 문’에 VP가 활용될 예정이다. 유태경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구조의 생물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다윈보다 앞서 발견했지만, 그는 지구가 몇 차례 대재난을 겪었고 이때마다 신이 새로운 생물을 창조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과학사가들은 그를 이렇게 평가했다. “퀴비에는 낡은 것을 답습하며 현재에 안주했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뛰어난 지성을 갖췄지만, ...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시작돼 사전에 2021 PDC를 발견했다면 물리적 특징을 미리 조사하고, 물리적 충돌을 가해 재난을 막아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시뮬레이션 속 가상 훈련이었지만, 소행성과의 충돌이 실제로 벌어질 가능성은 존재한다. 아직 인류가 발견하지 못한 소행성이 언제 지구를 위협할지도 알 수 없다.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머물고 있는 곳은 발전소와 멀지 않은 산입니다. 지난번에 거처가 너무 열악해서 질병과 재난, 그리고 야생동물 습격에 취약해 이곳 인간들은 오래 살지 못할 거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 말을 정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들이 그런 열악한 환경을 유지하는 건 눈에 띄지 않기 위한 전략이고, 그들은 ...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교훈이 ‘모든 걸 온라인으로 대신하자’가 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고 본다. 다양한 재난에 대처할 여력을 갖춘 도시가 좋은 도시다. 물리학적으로 말하자면 ‘복잡계’로서의 도시다. 생명은 살아남기 위해 자체의 복잡성을 늘리면서 복잡하게 바뀌는 환경을 감당한다. 도시를 설계할 때에도 이런 ... ...
- [chapter1] 왜 퓨처 모빌리티인가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위기의식 때문이다. ▲이상기후로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가뭄, 폭우, 폭염 등 재난이 세계 곳곳에서 연달아 일어나고 있다. /위기/2019년 11월, 153개국 1만 1000여 명의 과학자가 기후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이들은 국제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에 ‘기후 비상사태에 대한 전 세계 과학자들의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