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력"(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힘을 발생시킨다. 모든 건축물은 수평으로 미는 힘(압력)에는 강하지만 잡아 당기는 힘(장력)에는 취약하다. 교량을 생각하면 양쪽에서 가운데로 미는 힘에는 잘 견디지만 잡아 당기는 힘에는 매우 약하다. 그래서 미는 힘만이 작용하는 아치 형태의 교량이 구조적으로 안정하다.그런데 건물 곁에서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차 파손 이후에도 충격 에너지가 남았다면 타격 지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또다른 장력이 발생해 그 부근에 동심원 골절이 발생한다(그림➋). 이 때 동심원의 크기는 뼈의 강도나 구조 혹은 충격을 가한 물체의 방향과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개 뼈를 타격한 물체의 면적보다 동심원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CNU세일-1은 ‘붐의 복원력’을 이용해 돛을 편다. 붐이란 돛의 뼈대 구조로, 어느 정도 장력이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CNU세일-1은 줄자를 이용한다. 연구실에 줄자가 널려있는 것도 그 때문이었다. 큐브샛 안쪽에는 말려있는 줄자가 낚시 줄에 고정돼 있다. 지상에서 신호를 주면 낚시 줄 아래 위치한 ... ...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원리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주요 원인은 표면장력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유럽물리학회지’ 2015년 11월 25일자에 실렸습니다. 초콜릿 분수에도 수학이 숨어 있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지 않나요? 하지만 명심하세요. 수학은 수학일 뿐입니다.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스르륵~ 표면장력으로 가는 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정확하게 알코올을 떨어뜨려야 한다는 거예요. 배의 뒷 부분에 알코올이 섞이면서 표면장력이 달라져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배의 옆에 알코올이 떨어지면 배가 앞으로 나가지 못한답니다. STEP➌ 누구의 배가 가장 빠를까?본격적인 대결에 앞서 예선전이 치러졌어요. 2명씩 대결을 해서 이긴 ...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하늘을 향해 들고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거미줄을 뿜어낸다.➋ 몸 밖으로 나온 거미줄에 장력이 생겨 몸이 공중에 뜨면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➌ 거미줄에 매달려 멀리 날아간 거미들은 자신이 살기에 적당한 곳에 도착한다.➍ ‘배회성 거미’들은 식물 위나 땅 위를 돌아다니면서 생활하고, ... ...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돌아갔다. 이론적으로 공기의 저항을 무시하면, 진자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실의 장력뿐이므로 진자는 일정한 진동면을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진동면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고 있다면? 이것은 결국 땅이 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지구가 돌고 있는 것이다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나가려고 한다. 또 거품 표면에는 물 분자가 서로 잡아당겨 표면적을 줄이려는 힘(표면장력)이 있다. 결국 이 힘들이 서로 평형을 이루지 않으면 거품은 금세 터져버리고 만다. 이럴 때 마요네즈를 만들 때처럼 유화제를 넣으면 오랫동안 거품이 무너지지 않는다. 달걀노른자 속 레시틴이나 녹인 ... ...
- [수학뉴스] 힘센 쪽이 이끄는 물방울 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예측하는 단서로, 방수 산업, 윤활 물질 연구 등에 쓰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표면장력★ 액체 표면의 물 분자는 액체 내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받는데, 공기와 만나는 표면적을 가장 작게 만들어 균형을 이루려는 힘을 말한다.코사인(cos) 값★ 예각을 낀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밑변의 길이 비.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물질을 검출하는 센서 칩을 만들 때 활용하기도 한다. 작은 관에 물과 오일을 흘리면 표면장력 때문에 오일에 둘러싸인 작은 물방울을 계속 만들 수 있다. ‘미세 물방울 제어’라고 불리는 이 기술은 검출 민감도를 올리는 데 활용된다. 1mL 용액에 단 하나의 바이러스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