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사"(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대 인간의 수혈을 최초로 시도하면서 현대 수혈의 첫걸음을 내딛게 됩니다. 산부인과 의사 제임스 브룬델은 아이를 낳고 과도하게 피를 흘리는 산모에게 인간의 피를 수혈했습니다. 그 결과, 일부의 목숨은 구했지만, 일부는 사망했어요. 당시에는 혈액형에 대한 개념이 없어 혈액형과 무관하게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문제는 질병을 특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사례가 적어 환자도 의사도 원인을 알기 힘들다. 질환명을 정확히 진단받는 데만 4~9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는 분석도 있다. doi: 10.1371/journal.pone.0265847 “질환 특정이 힘든 희귀 유전질환 환자의 경우, 유전체 전체를 분석하면 질환의 원인을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뮬레이션을 실행해 그 성능을 통계적으로 검증했습니다. 각 개체들 간의 명시적 의사소통 없이도, 해결이 힘든 항공교통 상황에서 충돌 회피와 응급도 관리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음을 보였죠. 또한 이 분산형 관제가 항공기는 물론 열차, 드론, 자율주행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때 보행자의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장미에 덮어줬던 유리 덮개와 비슷한 모양새였다. 정원에서 화초를 기르는 취미를 가진 의사 A씨는 이 물건을 보자마자 용도를 간파했다. 핫 캡(hot cap)이라고 부르는 이 물건은 봄철 낮은 기온에 식물이 해를 입지 않도록 씌워주는 물건이다. 다 마신 투명한 페트병의 윗부분을 잘라서 만들 수도 있다 ...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깨버리는 연구 결과를 논문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수많은 의사 결정 방식 중 동전 던지기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하고 편리해 동전 던지기가 오래 사용된 이유는 일단 단순하고 편리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엄지손가락으로 동전을 위로 튕기기만 하면 둘 중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무리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번 논문을 통해 동전 던지기뿐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의사 결정 방법이 정말 무작위한지, 나아가 무작위하다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다. 서인석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룰렛 돌리기, 노래 셔플 재생 등은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의 인사들을 통해 우두법을 전국적으로 보급하려 노력했다. 1876년 개항 직후, 몇몇 한의사들이 개인적으로 민간 차원에서 우두법을 시술했던 시기를 지나 조선 정부는 국가 차원에서 천연두 예방접종을 실시하려 노력했다. 1884년 갑신정변 이후에는 전국 영아를 대상으로 의무 접종을 시도했다. 18 ... ...
- [과학사] 1869년 6월 1일 에디슨의 첫 발명품, '전자 투표 기록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법안을 표결하는 장면을 본 적 있나요?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에는 전자표결기가 설치되어 있어요. 의원들이 각자 앉은 자리에서 투표를 하면, 결과가 자동으로 표시되지요. 이처럼 전자기기를 활용해 투표하는 방식을 ‘전자 투표’라고 해요. 전자 투표에 활용되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인간이 사라진다면 지구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아팠던 날에는 똥의 모양도 평소와는 좀 다르죠. 무엇이 내 똥의 모양을 결정하는지 의사 선생님들의 설명을 들어보세요. 대변을 굳기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브리스톨 스케일 차트를 보면서 자신의 똥 모양을 살펴볼 수도 있어요. 변비인지 아닌지 자가 체크는 덤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우주 교육 2030’을 진행하고 있다. 지적 호기심과 STEM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의사소통 능력도 대단히 중요하다. 100년 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가 치열한 논쟁을 통해 양자역학을 발전시킨 바 있다. 아인슈타인은 그 자신이 양자역학에 크게 기여한 과학자 중 한 명이면서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