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애플이 7년 만에 보여준 미래 'VISION' XR 삼국지가 펼쳐진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것”이라고 풀이했다. 공간 컴퓨팅을 연구하는 권순철 광운대 스마트융합대학원 정보융합시스템학과 교수는 “요소 기술 자체는 어느 정도 궤도권에 올라온 상태라, 이를 각 회사가 하드웨어적으로 어떻게 나타내느냐의 문제”라고 했다. 강원대 인간공학 메타버스 연구실을 이끄는 김우주 교수는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조 교수는 “미래 4차 산업을 대비한 대학 교육의 혁신이 시작됐다”며 “스마트제조융합전공에서 기르고 배출하는 인재들이 경상남도의 내일을 이끌 것”이라고 확신했다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고교학점제로 교육과정이 다양화됐지만, 과학중점학교 도입 당시엔 화학실험, 과학융합 같은 과목들도 그 차별점이었습니다. 대학 강의처럼 2시간 연강도 가능해서 실험과 이론 수업을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마지막으로 교과 과목 외 과학 관련 활동을 지원하므로 동아리 등이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감정을 공유할 수 있다는 능력을 장점으로만 보기는 어렵습니다. 2022년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 ‘인공지능은 부정적 감정을 가라앉힐 수 있을까?: 인공지능 작성 기사와 인간 작성 기사가 수용자의 감정과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죠. 연구 결과, 대체로 AI보다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아직 한국에는 연구기반이 잘 닦여 있지 않았던 때였으니까요. 하지만 조만간 한국도 핵융합 연구를 시작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에서 잘 하지 못하는 연구분야에 몸담는다면 외국에 오래 머무는 방법도 있겠죠. 하지만 외국에서 배운 지식을 국내에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재료를 연구하는 이들이 함께하고 있다. 재료와 기계, 설계 심지어는 디자인 분야까지 융합돼 힘이 전달되지 않거나 부품을 제조하는데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히 덜어 무게를 줄인다. 지금보다 더 가벼운 재료를 찾기 위해선 앞으로 더 많은 과학 분야가 협력과 경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을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른다. 그들의 경력과 인식도 이 시대 속에서 휘어진 셈이다. 이 책은 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의 남영 교수가 2010년부터 진행 중인 인기 강의 ‘혁신과 잡종의 과학사’를 토대로 했다. 오랫동안 수많은 학생들과 함께한 저자는 너무 많은 학생들이 과학 자체를 오해하고 있음을 절감했다고 한다. ... ...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아니다. 우리나라 수학 교과과정에서는 수학을 통해 ‘문제 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처리’, ‘수학 가치 실천’이라는 6가지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최근 저서 을 쓴 조향숙 한국과학창의재단 원격교육연수원장은 “컴퓨터가 이미 계산은 우리보다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소프트웨어 기술 검증 스타트업 ‘애나’와 김시호 연세대학교 IT융합공학과 교수팀은 GPT-3.5 기반의 챗GPT에게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풀게 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 결과 영어는 33문제 중 27문제로 82%로 맞혔고, 수학은 20문제 중 6문제로 30% 밖에 못 맞혔지요. 김동진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오가노이드 지능 연구는 생물학적 하드웨어를 가진 인공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한 인공 초지능을 만들어보자는 취지다. 충분한 크기의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었다면, 이로부터 충분히 많은 신경 신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해독할 수도 있어야 한다. 정보 추출에는 신경 탐침 ... ...
이전2345678910 다음